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미술교육 박사과정을 수행하는 초등교사의 ‘자기 배려’ 경험에 관한 내러티브 탐구

이용수  3

영문명
A Narrative Inquiry about the Experience of ‘Self-Care’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Conducting Doctoral Courses in Art Education
발행기관
한국교육인류학회
저자명
정회진
간행물 정보
『교육인류학연구』제24권 제1호, 237~259쪽, 전체 23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1.03.31
5,5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여러 교과를 가르치는 초등교사의 미술교육 박사과정 수행 경험을 이해하는 것은 특정 교과를 깊이 있게 연구하는 교사 연구자로서의 주체성을 이해하는 것과 관련 있다. 본 연구는 교육전문 대학원에서 초등미술교육과 박사과정을 수행하는 초등교사의 경험이 갖는 자기 배려적 의미와 주체적 성장의 과정을 이해하려는 시도이다. ‘미술교육 박사과정을 선택한 이유가 갖는 의미는 무엇인가?’, ‘미술교육 교사-박사생의 고립성이 갖는 의미는 무엇인가?’, ‘자기 배려의 차원에서 박사학위 과정 이후의 지향점은 무엇인가?’ 이러한 연구 퍼즐을 통해 교사의 박사과정은 학생에게 배움의 본을 보이기 위해 다시 학생이 되고, 학생으로부터 완성되어 가는 순환 과정임을 이해하였다. 특히, 미술교육 박사과정은 미술 교육자로서 교사 스스로 자기 자신을 미술 작품으로 빚어가는 과정이고, 자신을 하나의 작품으로써 타자에게 드러내어 타인 배려로 나아가는 자기 성장의 실천이다. 미술교육 박사과정을 수행하는 초등교사의 경험에 관한 이 연구가 자기 배려의 의미로 특정 교과 교육의 전문성을 키우고자 하는 초등교사의 주체성을 이해하는 데 기여하기를 기대한다. Understanding the experiences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teaching various subjects while studying for a doctoral course in art education is related to understanding subjectivity as a teacher-researcher studying a specific subject in depth. This study is an attempt to understand the meaning of self-care and the process of subjective growth of the experiences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taking doctoral courses in elementary art education in a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What is the meaning of the reason for choosing the doctoral course in art education?’, ‘What is the meaning of the isolation of art education teacher-doctoral students?’, ‘What is your goal after the doctoral degree program in terms of self-care?’ Through these research puzzles, it was understood that the teacher's doctoral course is a circular process that is being completed by becoming a student again in order to show the example of learning to students. In particular, the doctoral course in art education is a process in which art educators make themselves into works of art, and is a practice of self-growth by exposing themselves to others as art-works and moving toward care for others. It is hoped that this study on the experiences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performing a doctoral course in art education contributes to understanding the subjectivity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who seek to develop specialty in specific subject education in the sense of self-care.

영문 초록

목차

1. 이야기를 시작하며
2. 교사의 박사과정 수행에 대한 탐색
3. 연구 방법
4. 두 교사의 박사과정 수행 경험 이야기
5. 미술교육 박사과정 수행 경험의 자기 배려적 논의
6. 나오며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정회진. (2021).미술교육 박사과정을 수행하는 초등교사의 ‘자기 배려’ 경험에 관한 내러티브 탐구. 교육인류학연구, 24 (1), 237-259

MLA

정회진. "미술교육 박사과정을 수행하는 초등교사의 ‘자기 배려’ 경험에 관한 내러티브 탐구." 교육인류학연구, 24.1(2021): 237-259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