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불안정 애착에 기초한 학업 좌절에 대한 협력적 자문화기술지: 성찰적 자기 이해와 극복을 중심으로
이용수 6
- 영문명
- A Collaborative Autoethnography on the Experience of Academic Frustration Due to Attachment Insecurity: Overcoming and Reflective Self-Understanding
- 발행기관
- 한국교육인류학회
- 저자명
- 박태화 김명찬
- 간행물 정보
- 『교육인류학연구』제21권 제3호, 47~73쪽, 전체 27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8.09.30
6,0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연구는 불안정 애착을 형성한 연구자의 성장 과정과 성장하면서 경험한 학업 좌절에 대한 개인의 주관적 경험을 협력적 자문화기술지를 통해 보여주고자 한다. 불안정 애착은 연구자의 성장 과정에서 당위적인 욕구를 억압하고 자신을 처벌하는 태도를 보이며 욕구를 갖는 자신을 비난하게 된다. 연구자 시선에서 부모가 제공한 환경은 진정한 ‘나’가 실현되지 못하는 환경으로 인식하였지만, 부모에게 연구자는 욕심이 없고 까다롭지 않은 순응적인 딸로 인식하였다. 또한, 공부하면서 학업을 이어갈 현실적인 능력으로의 학력(學力)과 성취하길 바라는 욕심 사이에 불일치가 느껴져 두려움에 매몰되는 ‘초라한 나’와 마주하는 경험이었다. 부모가 바라본 ‘욕심 없던 나’가 될 수밖에 없었던 연구자의 환경이 교육에 대한 결핍으로, 이러한 결핍은 성장에 뒤따르는 무게감을 경험해보지 못해 두려워하고 회피하는 행동으로 나타났다. 연구자 내면의 ‘초라한 나’는 결과적으로 학업에 적극적일 수 없었던 ‘나약한 나’와 마주하는 과정이자 학업이 주는 의미를 찾는 과정이 될 것이다. 이 연구는 여러 가지 이유에서 학업 좌절을 경험한 뒤 재도전하면서 두려움에 압도되는 이들을 심도 있게 이해하고 치유 과정을 제공하는 데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how the subjective experiences of students who have experienced unstable attachment and the academic frustration experienced during cooperative curriculum growth. Unstable attachments result in an attitude of repressive self-punishment and despising self-desire in the process of this researcher's growth. It was also the experience of facing the 'shabby me' buried in fear because of the inconsistency between his academic ability and desire to realize his potential to continue their studies. The researcher's environment, which could not have been the 'greedy' I looked at by the parents, was a lack of education and this deficiency appeared to be a fearful and evasive act because I could not experience the weight following growth. The researcher's inner “shabby me” will be a process of facing the 'weak me' that could not be active in the study, and the process of finding the meaning of the study. This study is meaningful to deeply understand those who are overwhelmed with fear in rehabilitating after experiencing achievement frustration for various reasons and to provide the healing process.
영문 초록
목차
1. 들어가기
2. 연구방법
3. 결코, 만난 적이 없는 엄마와 나
4. 아무것도, 누구도 아닌 나
5. 잃어버린 나를 찾아서
6. 서툴고 힘겨운 성장
7. 나가며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텍스트 마이닝을 활용한 학교자율시간에 대한 초·중학교 교사의 인식분석
- 대학 교양교육에서의 사고 개발 가능성: 영화 ‘미키17’과 봉준호감독의 인간 이해와 창작 철학을 중심으로
- 조직공정성이 유아교사의 조직몰입 관계에서 직무스트레스와 직무소진의 직렬다중매개효과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