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Looking into Korean Immigrant Girls’ Discursive Practices of Beauty: From Poststructural Perspectives

이용수  0

영문명
발행기관
한국교육인류학회
저자명
동풀잎
간행물 정보
『교육인류학연구』제21권 제2호, 117~144쪽, 전체 28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8.06.30
6,1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In this age of increased globalization and transnationalism, what does beauty mean for Korean immigrant children? This research seeks to understand how young Korean immigrant girls understand beauty within their local communities and cultures. It examines how cultural influences shape their self-image and ideas of beauty in everyday life. To date, most attention in the literature has been focused on critical examinations of the effects of media and the White standards of beauty on children. However, there is still little social attention focusing on Asian-American and immigrant children’s perspectives. Therefore, there is more urgency on studies exploring how children navigate disparate cultural expectations. I conducted an ethnographic case study in a small city in the northwest US, including participation observations and interviews with Korean immigrant girls and their parents. To make sense of the data, multiple poststructural theories including Mindy Blaise, Bronwyn Davies, and Bakhtinian text mapping are used. These theories reveal the multiple discourses about beauty in their narrative and works. Results indicate that as middle class Korean immigrant students who identify as Christians, and as active agents in the society, these girls show (a) their power relationship with their teachers or mothers, (b) their complex ways in which the girls borrowed and integrated ideas of beauty using local and societal knowledge (c) their different and contradictory subjectivities on the meanings of beauty, and (d) the girls’ strong Korean identity and various agencies showing their own ideas of what is beautiful. Their thoughts reveal how they think about and negotiate the diverse aesthetic activities in their everyday lives. 한국 이민자 유아들에게 “아름다움, 미 (Beauty)” 라는 의미는 무엇일까? 이 연구는 한국 이민자 여자 유아들이 자신들의 커뮤니티와 문화 속에서 “아름다움” 라는 개념을 어떻게 이해하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또한 그들의 문화적 요인들이 그들의 일상생활에서 어떻게 여아들의 자기 이미지 (Self-image)와 “아름다움”라는 개념에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았다. 현재까지 많은 선행연구들은 미디어 영향과 서양 백인 위주의 미의 기준에 대한 비판적 접근이 많이 이루어졌고, 아시아계 미국인들과 이민자 한국 유아들의 관점을 주목하는 연구는 아직까지 거의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미국 사회의 한국 이민자로서 그들의 다양하고 복잡한 문화적 담론과 가치, 기대들 속에서 어떻게 그들의 의미를 만들고 상호작용하며 살아가는지 알아보는 연구가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문화 기술 사례연구로서 미국 북서쪽에 있는 작은 도시에서 이루어졌다. 참여관찰과 인터뷰로 모은 여아들 (7, 8세)의 데이터는 Mindy Blaise, Bronwyn Davies 그리고 Bakhtinian text mapping 등의 다양한 후기구성주의 시각들로 바라보았다. The photo-elicitation 방법으로 여아들의 일상적 내러티브 뿐만 아니라 인터뷰에 사용된 여아들의 그림, 디지털 어플리케이션을 통한 놀이에 있는 그들의 다양하고 아름다움, 예쁨에 대한 담론들과 복합적이고 다양한 이해 만들기 과정에 집중 하였다. 그 결과, 중산층 한국 이민자 여아들은 적극적인 한 사회의 구성원으로서 한국인, 가족의 한 구성원, 크리스챤 등으로 자신들을 동일시하는 모습을 보였다. 또한 다양하고 복잡하며 한편으로는 이전의 생각들과 대립되는 방법으로 그들만의 “아름다움”에 대한 생각을 표현하였으며, 그들의 이러한 관점은 일상생활에서 어떻게 다양한 미적 활동을 생각하고 협상 하는지를 보여준다.

영문 초록

목차

1. Introduction
2. Methods
3. YD’s practices about the beauty
4. JA’s practices about the beauty
5. Conclusion
References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동풀잎. (2018).Looking into Korean Immigrant Girls’ Discursive Practices of Beauty: From Poststructural Perspectives. 교육인류학연구, 21 (2), 117-144

MLA

동풀잎. "Looking into Korean Immigrant Girls’ Discursive Practices of Beauty: From Poststructural Perspectives." 교육인류학연구, 21.2(2018): 117-144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