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Wee스쿨 교사 체험을 통해서 본 경계지성의 실존적 가능성 탐구

이용수  0

영문명
Inquiry on the Existential Possibility for Border Intellectuals through Wee School Teacher’s Experience
발행기관
한국교육인류학회
저자명
허창수
간행물 정보
『교육인류학연구』제21권 제2호, 1~31쪽, 전체 31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8.06.30
6,5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최근 들어 공교육에서도 경계를 넘어 대안 교육을 표방하는 다양한 정책과 교육과 정이 시도되고 있다. 대안 교육이 시작되면서 경계 넘는 실행들이 가진 의미들에 대해서는 많은 논의가 있어 왔다. 반면 아직도 그 의미에 대해서 공교육 경계 내에서는 다소 미온적이다. 이에 대한 적극적인 논의와 해석이 필요하다고 생각했고, 일환으로 하나의 다른 지향을 제공하기 위한 시도를 목적으로 본 논의를 하였다. 해석을 위한 대상은 Wee스쿨 참여 교사들의 경험에 대한 인식을 자료로 활용하였다. 주 자료는 일정 기간 수집한 것이지만 베르그손의 ‘지속’ 개념에 따르면, 과거 관련된 연구자의 경험도 포함하고 있다. 따라서 경험 중 논의를 위해 기억에 있는 이미지들을 가져와서 활용하였다. 논의의 시각으로 경계지성과 경계교육학, 하이데거의 가능성을 사용하였다. 해석은 경계를 중심으로 하였고, 그에 대한 교사의 인식은 지성으로 이해하였다. 이에 기초한 교육은 경계교육학이다. 아울러 경계 밖에 던져진 실존에 대한 이해를 위해 존재론의 가능성에 대한 개념이 필요하였다. 따라서 본 논의는 경계지성을 가능성으로 재개념화 하였으며 그를 통해 교사가 인식하지 못했던 스스로의 존재에 대한 실존적 질문에 던져졌고 그로부터 교사로서의 현존재를 이해하는 계기가 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Educational policies and curriculums have been recently attempted in Korean public schools to promote alternative education crossing over the borders. There has been much debate over the implications of these boundaries. However, it still has a somewhat lukewarm sense of meaning within the public education boundarie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have an active discussion and interpretation, and as a part of this discussion, I made an attempt to provide an alternative understanding. The analysis used is the perceptions of the teachers who participated in the Wee school. The data are collected for a certain period, but according to Bergson's concept of 'duration,' it also includes experiences related to my own past experiences. Therefore, I took ‘image-remembrance’ and used it for discussion. The concept of discussion used border intellectuals, border pedagogy, and Heidegger’s possibility. The interpretation for the discussion is centered on the borders, the teacher 's perception can be understood as intellectuals, and education on it is border pedagogy. In addition, the concept of the possibility of ontology was needed to understand the existence that was thrown outside the borders. Therefore, the discussions showed that the border intellectuals was re-conceptualized as possibility and it was thrown into the existential question about the existence of the self, which the teacher did not recognize, and it became the occasion to understand the ‘Dasein’ of teacher.

영문 초록

목차

1. 공교육 경계의 모호함
2. 실존적 가능성과 경계지성
3. Wee스쿨교사들과 만남의 기억과 이미지라는 질적 과정
4. Wee스쿨의 일상
5. Wee스쿨 교사들의 교육적 체험에 드러난 가능성
6. 경계지성과 가능성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허창수. (2018).Wee스쿨 교사 체험을 통해서 본 경계지성의 실존적 가능성 탐구. 교육인류학연구, 21 (2), 1-31

MLA

허창수. "Wee스쿨 교사 체험을 통해서 본 경계지성의 실존적 가능성 탐구." 교육인류학연구, 21.2(2018): 1-31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