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초심 수퍼바이저의 수퍼비전 경험에 대한 내러티브 탐구
이용수 12
- 영문명
- Exploring the Narrative of Novice Supervisor Supervision Experience
- 발행기관
- 한국교육인류학회
- 저자명
- 김명화 홍혜영
- 간행물 정보
- 『교육인류학연구』제20권 제1호, 135~172쪽, 전체 38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7.03.31
7,3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초심 수퍼바이저의 수퍼비전 경험과 그 의미에 대해 알아보고자 상담심리전문가 자격을 취득한지 5년 이하, 현재 상담과 수퍼비전을 모두 하고 있는 수퍼바이저를 대상으로 내러티브 탐구방법을 통해 알아보았다. 수퍼바이저들은 주변의 요구로 수퍼비전을 시작하게 되었고, 역할변화로 인해 당황스러움이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또한 수퍼비전을 위해 치밀하게 준비를 하고, 수퍼바이지의 피드백에 신경쓰고 있었으며, 수퍼바이지에 대한 여러 감정들이 교차하였다. 그럼에도 수퍼비전을 지속하는 이유는 수퍼바이지의 열정적인 모습이 보였기 때문이다. 이러한 경험들을 통해 수퍼바이지의 성장을 믿고 기다려주게 되었고, 지적 호기심의 증가로 전문성이 발달하고 있었다. 그리고 수퍼바이저들은 자기성찰을 하고 있었으며, 자신만의 수퍼비전 방법을 형성해가고 있었다. 초심 수퍼바이저들에게 수퍼비전은 전문가로서 그리고 인간으로서의 성숙해져 가는 과정이며, 이는 성장과 변화를 의미한다. 초심 수퍼바이저들의 시행착오와 부담감을 줄이기 위해 수퍼비전의 수행 경험이 수행될 수 있는 과정이 수립되기를 기대한다.
In this study, novice supervisors' experience “supervising” and the meaning they place on their supervisory experience were examined via narrative research design. Six certified counselling psychologists with fewer than five years of both counselling and supervisory experience were selected as participants of the study. The results found that novice supervisors have difficulty adjusting to their supervisory role since they transitioned only recently from supervisee to supervisor, and they accepted the supervisor role merely because their supervisees requested supervision from them. Although novice supervisors feel ambivalent toward their supervisees, they meticulously prepare supervisory session and feedback and are willing to continue supervision as their supervisees exhibit a high level of motivation and passion for learning from them. Data analysis reveal that supervisory experience increased novice supervisors' level of intellectual curiosity, which in turn improved their expertise in counselling. Over time, novice supervisors developed individualized, personalized supervision training methods through self-reflection as well as confidence in their supervisees' professional growth. To novice supervisors, supervisory experience is an important step towards growth on a professional level and positive change on a personal level. Findings from this study imply that more comprehensive supervision training and practice for novice supervisors should be implemented to reduce tension and unease that arise from abrupt role transition.
영문 초록
목차
1. 서론
2. 내러티브 스케치
3. 수퍼비전 현장 속으로
4. 다시 이야기하기
5. 결론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