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시각적 연구방법에 대한 인식론적·방법론적 고찰
이용수 0
- 영문명
- Issues of Epistemology and Methodology in Visual Research Methods
- 발행기관
- 한국교육인류학회
- 저자명
- 김아미
- 간행물 정보
- 『교육인류학연구』제20권 제1호, 1~23쪽, 전체 23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7.03.31
5,5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시각적 연구방법의 인식론적, 방법론적 특징을 분석함으로써 시각적 연구방법론이 교육학 연구에 가지는 함의를 고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 참여자가 주도적으로 수집 혹은 생산한 시각 자료(예를 들어, 사진, 영상, 그림 등)와 그것에 대한 연구 참여자의 해석을 주 자료로 삼는 시각적 연구방법은 어린이와 청소년 관련 다양한 분야의 연구에서 활발하게 활용되고 있다. 연구 참여자의 목소리를 강조하는 최근의 질적 연구 경향에의 적합성이나, 어린이·청소년 연구 참여자들이 처해있는 문화 환경에 대한 보다 유효한 접근을 돕는다는 점에서 시각적 연구방법은 강점을 지닌다. 그러나 실제 연구에 시각적 연구방법을 활용했을 때 자료의 수집과 해석의 과정에서 언어기반 연구방법에서는 드러나지 않았던 난점이 존재하기도 한다. 본 연구는 시각적 연구방법에 대한 이론적 논의와 시각적 연구방법을 활용한 선행연구 분석을 기반으로, 시각적 연구방법이 내포하고 있는 인식론적 함의를 살펴보고 방법론적 특징을 분석하고자 한다. 궁극적으로 이 논의는 시각적 연구방법이 가지는 유효성을 보여줄 뿐 아니라, 시각적 연구방법을 활용하는 연구자의 형성적 역할이 중요함을 보여준다.
This study aims to discuss the implications of visual methodology in educational research by discussing its epistemological and methodological characteristics. Recently, visual methodology is actively used in various research fields looking into children and the youth. Visual methods they use focuses on what research participants themselves produced (e.g. photograph, moving images, picture, etc.) instead of discussing over the visual materials that are chosen by the researcher. Visual methods have strengths as they enable the emic perspective, which recent qualitative research emphasize, and enable researchers to access the 'authentic' cultural environment in which children and adolescents participate. However, when visual methods are used in actual research, there are difficulties in the process of data collection and interpretation, which are not revealed in language-based research methods. Examining the literature about visual methodology as well as previous studies based on visual methodology, this study discusses the epistemological implications of visual methodology and analyzes its methodological characteristics. Ultimately, in addition to discussing the advantage of using visual methods, this study argues the importance of the formative role of researchers using visual research methods.
영문 초록
목차
1. 들어가며
2. 시각적 연구방법의 등장 배경
3. 시각적 연구방법에 대한 고찰
4. 시각적 연구 방법에 대한 비판적 논의 : 연구자의 고민
5. 나가는 말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