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초등학교 체육전담교사로 살아가기: 한 여교사의 교육적 성장과 그 의미

이용수  0

영문명
Living as a Specialist PE Teacher in an Elementary School: A Female Teacher′s Educational Growth and its Implications
발행기관
한국교육인류학회
저자명
임혜림 이옥선
간행물 정보
『교육인류학연구』제19권 제4호, 115~143쪽, 전체 29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6.12.31
6,2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한 여교사가 초등학교 체육전담교사로 살아가는 과정을 심층적으로 이해하고, 초등체육 교사교육과 교직문화 개선을 위한 교육적 의미를 모색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자문화기술지 연구 방법을 차용하였으며, 자기회상자료, 교사반성일지, 현지문서 등의 자료를 수집하여 내용 분석과 구조 분석(Ellis, 2004)의 방법으로 분석하였다. 초등학교 여자 체육전담교사로서의 ‘삶’이라는 표현에 감춰진 이중적 지향성에 주목한 결과, 크게 ‘살아내기’와 ‘살아가기’라는 두 가지 주제를 발견하였다. 먼저, ‘살아내기’에서는 ‘어색한 운동전문가’, ‘여교사에서 마당쇠로’, ‘안전제일 레크리에이션 강사’라는 세 가지 주제를 통해 여자 체육전담교사가 마주하게 된 당위적 삶의 양태를 드러내었다. 다음으로, ‘살아가기’에서는 ‘체육수업을 향한 열정’, ‘동료와의 소통’, ‘내 자리의 이유 찾기’라는 세 가지 주제를 바탕으로 여자 체육전담교사의 교육적 삶의 양태를 드러내었다. 본 연구는 초등체육전담교사의 삶이 학교 구성원들의 당위적 기대에 부응하기 위한 ‘살아내기’의 과정으로 그치지 않고 체육 가르치는 일을 통해 교사로서의 성장 가능성을 지향하는 ‘살아가기’의 과정으로 이해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a female teacher’s educational journey of becoming and living as a specialist PE teacher in an elementary school. By adopting an autoethnography research method, data were collected from memory, teacher’s reflective journal entries, and local documents. Data were analyzed by content analysis and structural analysis (Ellis, 2004). Findings revealed that my life as an elementary PE specialist teacher was categorized into ‘surviving’ and ‘thriving.’ The ‘surviving’ life was characterized by the struggle with competing demands and expectations of teaching PE within an elementary school. It included ‘becoming an awkward movement specialist,’ ‘transforming myself to a butch,’ and ‘being a safety first recreation instructor.’ Meanwhile, the ‘thriving’ life was characterized by becoming a growth-oriented learner in the school by confronting the misconceptions and prejudices of PE and PE teachers. It included ‘having passion for PE classes,’ ‘achieving positive recognition from colleagues,’ and ‘seeking the right reasons for my job.’ The findings show that a PE specialist teacher’s educational journey can be best understood as continuous pursuit of thriving life despite the struggles with survival needs.

영문 초록

목차

1. 들어가며
2. 연구방법
3. 초등학교 체육전담교사로 ‘살아내기’
4. 초등학교 체육전담교사로 ‘살아가기’
5. ‘살아내기’와 ‘살아가기’
6. 나오며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임혜림,이옥선. (2016).초등학교 체육전담교사로 살아가기: 한 여교사의 교육적 성장과 그 의미. 교육인류학연구, 19 (4), 115-143

MLA

임혜림,이옥선. "초등학교 체육전담교사로 살아가기: 한 여교사의 교육적 성장과 그 의미." 교육인류학연구, 19.4(2016): 115-143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