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이게 다 학교 때문입니다.”: 학교에서 새겨진 폭력
이용수 14
- 영문명
- “This is all because of school”: Violence Planted by School
- 발행기관
- 한국교육인류학회
- 저자명
- 서근원 문경숙
- 간행물 정보
- 『교육인류학연구』제19권 제4호, 41~81쪽, 전체 41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6.12.31
7,7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연구는 학교폭력을 가해자의 관점에서 이해하고자 하는 목적에서 이루어졌다. 이 연구를 위해서 나는 학교폭력 학생이라고 일컬어지는 어느 중학교 남학생 네모(가명)를 1년가까이 참여관찰하고 면담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그리고 그 자료를 분석하고 해석하여 학교 안에서 학교폭력이 어떻게 대물림되는지, 네모는 학교폭력을 어떤 관점에서 바라보는지, 그의 관점에서 볼 때 학교폭력은 어떤 의미를 지니는지, 그런 점에 비추어 볼 때 우리는 학교폭력을 어떻게 바라보고 대처해야 하는지 등을 이해하고자 했다. 그 결과 다음과 같은 점을 알게 되었다. 네모는 착한 곰과 같았지만, 중학교에 입학하면서 학교폭력의 일상적인 피해자가 되었고, 그 과정에서 학교폭력 학생들이 공유하는 “싸가지”로 일컬어지는 행동 규범을 내재화했다. 그리고 자신이 고학년이 되자 그 규범에 따라서 다른 아이들을 폭행하기 시작했다. 그런 네모에게 학교폭력은 복수이고, 정의의 실현이고, 적응의 기제였다. 네모가 이처럼 폭력적인 학생이 되어가는 데는 네모가 학교폭력의 피해자가 되었을 때 네모를 감싸주고 의지할 수 있는 인물의 부재 그리고 그런 사태를 방치하고 폭탄 돌리기 식으로 문제를 해결하고자 한학교의 조치 등이 연관되어 있었다. 이런 점을 고려한다면, 학교폭력을 바라보는 우리의 시선을 개인의 문제로만 국한하기보다는 공동의 책임으로 전환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한다.
This study was performed to understand school bullying in the bully's perspective. For this study, I collected data by participatory observation and in-depth interview with a male student, Naemo, who was in 9th grade and was a bully, for about a year. In this study, I tried to understand the mechanisms of occurrence and reproduction of school bullying, the meaning of school bullying in Naemo's perspective, and how we have to understand and prepare meaningful measures regarding school bullying. In terms of personality, Naemo was very docile and kind. After entering junior high school, he has become a daily victim of senior assault and battery and he has learned the rules of “ssagazi.” When he became a senior, he paid back by bullying his juniors based on what he learned through “ssagazi.” School bullying meant revenge, an act of justice, and adaptation for Naemo. The reasons why Naemo turned into a violent kid were having no close and warm relationship with significant others and school's irresponsible and neglectful measures to Naemo's violent behavior. Considering these factors, we need to change our view's on school bullying from it being a problem to a shared responsibility.
영문 초록
목차
1. 학교폭력 학생을 바라보는 시선
2. 네모를 찾아서
3. 네모의 학교폭력 사건
4. 때리기 좋은 애로부터
5. 때리는 아이로
6. 네모에게 학교폭력이란?
7. 네모는 오늘도 학교에 간다.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간호대학생에게 적용한 시나리오 기반 건강사정 실습 교육의 효과
- 장애인활동지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일의 의미가 조용한 사직에 미치는 영향
- 대학 합창 수업 맥락에서 SEL 평가도구의 적용 가능성 탐색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