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대학교육현장의 정규교과 수업에 적용한 학습동아리 지도과정에 대한 고찰
이용수 0
- 영문명
- A Study on the Teaching Process of Study Groups as a Teaching-Learning Method in a Regular College Class
- 발행기관
- 한국교육인류학회
- 저자명
- 정숙희
- 간행물 정보
- 『교육인류학연구』제19권 제4호, 83~113쪽, 전체 31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6.12.31
6,5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연구는 대학교육현장에서 정규교과 수업의 교수·학습방법으로 학습동아리를 적용하여 지도했던 과정과 어려움, 교육적 이슈, 그리고 반성적 성찰을 탐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5학기 동안의 연구일지, 면담자료, 강의평가 등의 다양한 자료를 심층 분석하여 진정한 학습자 중심 교육의 실현을 위한 실천적인 정보를 제공하고자 한다. 그 연구결과와 결론을 요약하여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새로운 수업방식의 시도에 대한 기대감과 막연한 염려를 동시에 가졌다. 둘째, 학습동아리를 교수·학습방법으로 활용하기 위해서는 동아리별 학습활동 결과를 발표하고, 질의응답 및 토론이 가능한 넓은 강의실과 교실 외 동아리 학습활동을 위한 공간을 확보해야 했다. 셋째, 학습동아리는 성별, 학년, 전공, 학습수준 등이 다양하게 이질적으로 구성하였으며, 동아리 학습활동을 참여관찰과 동아리별 활동보고서를 통해 모니터링 하였다. 넷째, 수업운영은 수업 전, 수업 중, 수업 후, 그리고 평가의 네 단계로 하였다. 다섯째, 학습동아리 지도과정의 보람, 좌절, 성찰의 반복적인 경험을 통해 진정한 학습자 중심의 교수·학습방법으로 한걸음 다가갈 수 있었다. 이 연구는 정규교과 수업에 학습동아리를 적용하여 지도한 경험을 통해 강의식 수업의 대안적 교수·학습방법에 대한 실천적인 정보를 제공하고, 진정한 학습자 중심교육의 실현 가능성을 보여주고 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This paper describes the teaching process in study groups as a teaching-learning method through a qualitative study. This study was designed to share practical knowledge and information on utilizing study groups as one of the teaching-learning methods in a college course. The specific research findings and conclusions are as follow: First, before applying the study group activities to a class, I had mixed expectations and some worries about integrating a new methodology into my current curriculum. Second, to accommodate the new class setting, I secured a spacious classroom as well as rooms for study group activities outside of class. Third, each study group consisted of five or six students of different backgrounds such as grade, gender, learning ability, and TOEIC score. Fourth, there were four steps to run the class: pre-class, in-class, post-class, and evaluation. Fifth, I developed this methodology into my own differentiated teaching-learning method through my reflective practices and experiences throughout this study. Thus, the study group activities-based class helps teachers to shift the learning environment from teacher-centered to student-centered, and also helps students to take responsibility for their learning on their own.
영문 초록
목차
1. 들어가며
2. 연구방법
3. 학습동아리 지도과정 이야기
4. 진정한 학습자 중심 교수 학습방법으로 성장
5. 나가며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대학에서 교양 법학 교육의 개선 방안에 관한 연구
- 예비유아교사의 개정 누리과정 기반 수업설계 경험과 배움 의미 탐색
- 잠재프로파일분석을 활용한 학생의 사회정서역량의유형 분류 및 영향요인 탐색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