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놀이 중심 교육의 토착화와 딜레마: 한국 유아교육 사례를 중심으로
이용수 7
- 영문명
- Indigenization of Play-centered Curriculum and its Dilemma: The Case of Korean Early Childhood Education
- 발행기관
- 한국교육인류학회
- 저자명
- 안준희
- 간행물 정보
- 『교육인류학연구』제19권 제1호, 73~107쪽, 전체 35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6.03.31
7,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논문은 놀이 중심 교육이라는 서구 유아 교육 담론 및 제도가 한국 유아 교육현장에 토착화되는 과정, 특히 그 과정에 수반된 갈등, 혼란, 딜레마를 살펴본다. 논문의 기반이 되는 자료는 놀이 중심 교육을 실천하고 있는 한 유치원에서의 15개월간의 질적 연구를 통해 수집되었다. 교사들은 수입된 교육제도를 수동적으로 이식하기보다는 창의적 아동 기르기라는 사회화 목표에 맞게 재해석, 재구성하였으며, 동시에 놀이 중심 교육을 실천하는 과정에서 협력적 창의성을 강조하는 등 창의성이라는 사회화 가치를 한국적 맥락에 맞게 토착화하였다. 또한 토착화의 과정에서 발생하는 다양한 갈등과 딜레마에 직면하여, 놀이 중심 교육의 이데올로기가 지닌 허구를 간파하고, 이에 대해 저항과 회피의 전략을 통해 대응하였다. 논문은 서구 유아 교육철학과 제도의 토착화 과정이 교사들의 일상적인 실천에 의해 매개됨을 보여줌으로써, 교육의 세계화에서 현지 교사의 행위성이 미치는 영향을 강조하는 기존 교육인류학 연구 성과들을 뒷받침한다.
This article examines how Western play-centered curriculum is indigenized in Korean early childhood education, with particular focus on the conflicts, confusions, and dilemmas embedded in indigenizing processes. Based on ethnographic fieldwork conducted at a Korean preschool, the article shows that teachers, rather than passively adopting a play-centered curriculum, reinterpret and reconstruct it to address the education goal of cultivating children’s creativity, self-expression, and diversity. At the same time, in enacting an imported curriculum, teachers reconceptualized Western individual-based creativity as cooperative creativity to reflect local demands. Moreover, teachers penetrated the problems of play-centered ideology and confronted them with resistance and avoidance. The article, overall, articulates local teachers’ agency in the globalized educational landscape by showing how global imports become indiginized with the work of local teachers who make decisions on how to implement or resist imported educational ideas and practices.
영문 초록
목차
1. 서론
2. 연구 대상 및 방법론
3. 놀이 중심 교육을 통한 창의적 아동 기르기
4. 불만족스러운 아동들의 창의성: 놀이 중심 교육의 딜레마
5. “관계가 좋아져야 놀이도 좋아진다”: 놀이 중심 교육의 허구에 대한 교사들의 간파와 회피
6.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수학 예비교사의 AIDT에 대한 기대와 활용
- 예비교사의 ‘설계-실행-재설계’ 과정에 기반한 교사 설계 역량 프레임워크의 정교화
- 대규모 수학 평가 문항에서의 인지·행동 영역 분류와 교사의 이해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