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교육인류학은 교육의 개선에 어떻게 기여하는가?
이용수 0
- 영문명
- How Anthropology of Education Contributes to Improving the Education of Us
- 발행기관
- 한국교육인류학회
- 저자명
- 서근원
- 간행물 정보
- 『교육인류학연구』제19권 제1호, 1~31쪽, 전체 31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6.03.31
6,5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현재 우리나라의 학교 교육은 공학적 교육의 개념을 기반으로 운영되고 있다. 공학으로서의 교육은 학생을 사물화하고 소외되도록 한다. 또한 인간이 학교 밖의 다양한 삶의 장면에서 겪는 교육을 적절히 설명하지 못한다. 이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교육의 개념과 문제 해결의 방법을 새롭게 모색할 필요가 있다. 인간은 살아가는 동안 다양한 삶의 장면에서 낯선 것을 만나고, 그것을 계기 삼아서 반성적으로 사고함으로써 세상을 새롭게 바라보고 실천하게 된다. 즉 인간은 낯선 것과 대화함으로써 변화해간다. 인간의 이러한 변화 모습을 교육이라고 정의하면, 우리는 인간이 다양한 삶의 장면에서 겪는 교육을 적절히 설명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학교에서 학생들이 교육이라는 이름으로 소외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새로운 교육의 개념으로 다양한 삶 속의 교육을 설명하는 일은 연구자 자신이 교육을 실천하는 일이며, 이러한 의미의 교육을 실천하는 일은 반드시 타인의 교육을 연구하는 일을 필요로 한다. 최근에 일부 교사들 사이에서 시도되고 있는 “아이의 눈으로” 접근 방법은 그러한 교육을 연구하고 실천하는 한 가지 사례이다.
Nowadays, Korean school education is based on the concept of education as engineering. Education as engineering reificates students. And it alienates students from being of human. The concept of education as engineering can not explain the education that happens in everyday life. To solve these problems, we have to inquire on another concept of education and approach. A human being encounters many strangers during their lifetime, which affects his own thought. It makes them take on new perspectives of the world and new ways of life. Humans change themselves in communicating with strangers. If we define this shape of change as education, we can explain the education that happens in everyday life, and we can prevent Korean students from alienation caused by seeing education as engineering. To explain the education that happens in everyday life based on the new concept of education includes practicing this new concept, which requires conducting research on it. The approach of “pupil's eye” tried by some Korean teachers is one case that explains practice of this new concept of education.
영문 초록
목차
1. 공학으로서의 교육
2. 탈 공학으로서의 교육
3. 대화로서의 교육
4. 실천으로서의 교육 연구
5. 연구로서의 교육 실천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Reading strategy use by Korean high school students on CSAT English test items
- Speaker familiarity and affective involvement: Insights from the Santa Barbara Corpus
- Exploring ChatGPT usage purposes and profiles among Korean high school EFL learners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