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어린이집 교사의 생애사 연구: 김교사 이야기
이용수 0
- 영문명
- The Life history of a nursery school teacher: Ms. Kim's narrative
- 발행기관
- 한국교육인류학회
- 저자명
- 김희연 김은숙
- 간행물 정보
- 『교육인류학연구』제16권 제1호, 25~63쪽, 전체 39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3.01.31
7,4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다양한 유형의 어린이집(민간, 국공립, 직장)에서 10년 동안 보육교사로살았던 한 교사의 이야기이다. 보육교사 초임에서 경력교사로 발전하는 과정을 거쳐 육아휴직으로 교사로서의 생을 마감한 30대 여성의 10년간의 삶을 시간을 축으로 한 변화와 연속성을 중심으로 서술하였다. 일기, 수첩, 계획안, 메모, 편지, 통화상담 기록표, 교사와의 인터뷰 전사본, 연구자간 대화 전사본과 회상을 바탕으로 자서전 텍스트를 구성하였고, 의미 있는 주제를 도출하고 핵심사건을 추출하고 주제 간의 유기적인 관계가 드러날 수 있도록 텍스트 재구성을 반복하였다. 그 결과 근무했던 각 기관에서의 생활 경험은 '원장님이 시키는 대로 해내는 여성', '학습공장의 직공', '잘 가르쳐 보려는 교수자', '부모-위탁체-회사라는 갑의 계약직을', '부담스러운 기혼 고경력 교사'로 표현되었고, 각 기관에서의 삶은 기관의 속성에 따라 운영 기제와 관련된 주요 경험내용 주제와 개인적 직무 인식과 관련된 주요 경험내용 주제로 조직되어 서술되었다. 유아교육 재개념화의 관점에서 보육교사의 직업 생애가 함의하는 시사점에 대해 논의하였다.
This study is about the life history of a nursery school teacher, Ms. Kim, who has worked at private, national/public, and workplace day care centers for 10 years. It was described in time-frames focusing on the change and continuity of experiences as a nursery teacher. Life history text was primarily constructed based on her diaries, her notebooks and memos, her schedulers, the letters she received, the transcription of teacher interviews, the transcription of dialogues with the co-authors, and memory. And then the texts were repetitively reconstructed in order to draw meaningful themes, extract key life-events, and represent interwoven relationship among the themes. As a result, Ms. Kim's life history was depicted, in accordance with each of the five day care centers she worked in, as 'a woman who complies with director's orders, 'a factory-hand in learning factories', 'an instructor who tries to teach well', 'a temporary contract employee of parent/commissioned-company/company employer', and 'a burdensome being who is married and on high pay-step'. Under each theme, Ms. Kim's career life experiences were categorized in two phases; the characteristics of the operating mechanism and the ways that her caring/teaching functions. Lastly, it was discussed about the implications of the life history of a nursery teacher as a typical job symbolizing a female was discussed, enduring strong physical and emotional labor holding low positions in a small-group organization, and grew as an early education teacher with praxis-based identity, but had to be short-lived due to the early education system in Korea.
영문 초록
목차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2. 연구 방법
3. 어린이집 교사가 되기까지
4. 어린이집 교사로서의 김교사의 삶
5. 마치며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데이터 과학 기반 한국어 쓰기 학습자의 AI 활용 태도 분석 방향 - 쓰기 과정에 따른 태도 척도 개발을 중심으로
- 생성형 인공지능을 활용한 비공식 한국어 학습 - 학습자의 동기 부여 변화에 초점을 맞춘 내러티브 탐구
- 비원어민 네팔 예비 한국어 교사의 수업 개선에 대한 실행연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