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한 교사 연구자의 변환적인 역할과 관점에 대한 자문화기술지

이용수  39

영문명
An autoethnography on the transformative roles and perspectives of a teacher-researcher
발행기관
한국교육인류학회
저자명
이동성
간행물 정보
『교육인류학연구』제14권 제2호, 61~90쪽, 전체 30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1.05.31
6,4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 글은 현장교사에서 교육연구자로 되어가는 연구 여정에서 저자가 직접적으로 체험한 교사 연구자로서의 변환적인 역할과 관점을 자기연구의 하나인 자문화기술지를 통하여 이야기하였다. 나는 자신의 목소리와 자기반성, 그리고 반영성에 기초한 개인적 이야기를 통해 교사 연구자의 역할과 관점을 논의함으로써 교사 연구를 활성화하기 위한 교육적 통찰을 제공하고자 하였다. 이 글은 교육이론과 교육실천 사이에서 형성된 교사 연구자의 변환적인 역할과 관점을 세 가지의 은유로 이야기를 하였다. 첫째, 실천가로서의 교사 연구자는 교육이론과 교육실천의 관계를 마치 만날 수 없는 ‘평행선’으로 비유하였다. 둘째, 연구자로서의 교사는 교육이론과 교육실천이 만나는 ‘합류점’으로 비유할 수 있었다. 그러나 연구자로서의 교사는 이중적인 역할과 관점을 조화시키는 과정에서 한계를 경험하였다. 셋째, 교사로서의 연구자는 교육이론과 교육실천이 특정한 시공간적, 사회문화적 그리드에서 교차적으로 구성되는 ‘교차점’으로 비유할 수 있었다. 현장교사의 실제적인 교수기술의 향상은 수많은 교수경험에 기초한 반성적이고 국지적인 이론화 작업을 통해서 가능하다. 따라서 교사 연구자는 자신의 실천 속에서 이론화 작업을 시도하는 국지적인 이론가(local theorist)로 거듭나야 한다. This paper describes the transformative roles and perspectives of a teacher-researcher who had experienced a research journey from a school teacher to an education researcher through autoethnography, which is a form of self-study. The aim of this paper was to suggest educational insight for facilitating teacher research by my personal narrative, which was based on voice, self-reflection, and reflexivity. This study expressed transformative roles and perspectives that were derived from educational theory and educational praxis of a teacher-researcher through three metaphoric concepts such as 'parallel', 'the confluence', and 'intersecting point'. First, teacher researcher as practitioner represented estrangement of educational theory and praxis as a disparate 'parallel'. Second, teacher as researcher was 'the confluence' of theoretical river and practical river. But teacher as researcher didn't harmonize identity and role of school teacher and identity and role of researcher. Third, researcher as teacher was 'intersecting point' that educational theories and praxes overlapping in the spatial-temporal and sociocultural grid. The improvement of practical teaching skill of a school teacher is rooted in personal and local theorizing in pedagogical practices of everyday life. Therefore, teacher-researcher should be a local theorist who try to theorize on his/her practice.

영문 초록

목차

1. 들어가며
2. 연구방법
3. 교사 연구자의 변환적인 역할과 관점
4. 나가며: '교육실천 속에서의 국지적 이론가 되기'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동성. (2011).한 교사 연구자의 변환적인 역할과 관점에 대한 자문화기술지. 교육인류학연구, 14 (2), 61-90

MLA

이동성. "한 교사 연구자의 변환적인 역할과 관점에 대한 자문화기술지." 교육인류학연구, 14.2(2011): 61-90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