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교육을 억압하는 문화에 관한 질적 연구: 햇살 테니스회를 중심으로

이용수  3

영문명
A qualitative research on a culture oppressing education: focused on Haesal Tennis Club
발행기관
한국교육인류학회
저자명
김한미
간행물 정보
『교육인류학연구』제14권 제2호, 1~26쪽, 전체 26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1.05.31
5,9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햇살 테니스회에는 고수가 “하수를 징그럽게 가리는” 문화가 존재하는데, 이러한 문화는 테니스를 재미있게 즐기려는 사람들의 욕구와 관련이 있다. 이 연구에서는 질적 연구 방법을 적용하여 테니스 재미와 수준의 관계를 밝히고, 이를 바탕으로 교육을 억압하는 문화에 대해 논의하였다. 햇살 테니스 동호인들은 테니스가 “어려워서”, “쉽게 안 늘어서”, “시간이 많이 걸려서”, “끝이 없어서”, “정복이 안 돼서”, “완성이라는 게 없어서” 재미있다고 말하였다. 수준과 관련하여, 그들은 수준이 비슷한 사람들과의 “팽팽한” 시합이 가장 재미있다고 말하였다. 또한 자신보다 수준이 조금 높은 사람과의 게임도 “배울 게 많다고 생각하고 긴장하고 칠 수” 있기 때문에 재미있다고 말하였다. 결론에서는 햇살 테니스장에서 발견한 내용을 토대로 다음 세 가지를 논의하였다. 첫째, ‘수준이 비슷한 사람들과 게임할 때 느끼는 재미’와 ‘수준이 높은 사람들과 게임할 때 느끼는 재미’는 서로 다른 재미로 구별할 필요가 있다. 둘째, 문화와 교육의 관계를 생각해 볼 수 있는데, “하수를 징그럽게 가리는” 독특한 문화는 교육적 소통을 억압하는 주요 원인으로 작용하고 있었다. 셋째, 햇살 테니스 동호인들은 테니스가 재미있는 이유를 수준을 높여가는 것에서 찾고 있었지만, “하수를 징그럽게 가리는” 문화 속에서 이러한 욕구를 자연스럽게 충족시키기는 어려웠다. Sports games provide enjoyment to players, on the other hand, it represents a culture which is related to human desire in the enjoyment of exhilarating games. High-level players were believed to have a high tendency to dislike playing with low-level players. Therefore, this study was designed to investigate the existence of a very particular culture between high-level and low-level sports players in the Haesal tennis club. In this study, the participants explained about how they were addicted to tennis, and they further explained about the challenge of tennis was the cause of their addiction. Moreover, the high-level player participants admitted that it was too difficult for them to play against the lower level players. They would prefer to play against the players who have similar or higher playing skills and techniques. On the basis of the stated culture, the findings of this study have reached the following three conclusions on tennis. First, it is necessary to distinguish two types of fun in tennis; playing with similar level players as well as playing with higher level players. Second, there is a need to consider the relationship between culture and education. The formation of this tennis culture, where a tension between high and low levels occurs, is the main reason why there is a suppression of educational communication between players in different levels. Last, this study has revealed that the natural condition of Haesal tennis club is insufficient to satisfy tennis players' desires, because the members in the club failed to make an equilibrium in progress and enjoyment.

영문 초록

목차

1. 사건: "순서에 의해"
2. 연구 문제
3. 연구 방법과 연구 현장
4. 수준과 재미
5. 해석 및 논의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한미. (2011).교육을 억압하는 문화에 관한 질적 연구: 햇살 테니스회를 중심으로. 교육인류학연구, 14 (2), 1-26

MLA

김한미. "교육을 억압하는 문화에 관한 질적 연구: 햇살 테니스회를 중심으로." 교육인류학연구, 14.2(2011): 1-26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