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웹툰 제작 플랫폼을 활용한 청소년 창작교육 방안 연구
이용수 50
- 영문명
- A Study on Youth Creative Education Using Webtoon Production Platforms
- 발행기관
- 한국문화예술교육학회
- 저자명
- 이상구
- 간행물 정보
- 『모드니예술』제21호, 25~54쪽, 전체 30쪽
- 주제분류
- 예술체육 > 무용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12.31
6,4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This study aims to present an educational approach based on webtoon production platforms to enhance the creative expression capabilities of modern youth who are digital natives. Recently, webtoons have established themselves as a major cultural content for young people and are gaining attention as a medium that encourages their voluntary creative drive. This study explores the educational potential of webtoon production platforms and develops a systematic creative education program. The research methodology included: First, analyzing the functions and characteristics of domestic and international webtoon production platforms to derive educational utilization elements. Second, examining the connection between middle and high school art curriculum and webtoon creative education. Third, developing and pilot-testing a 12-session webtoon creation education program applicable in actual educational settings. The research findings showed that creative education using webtoon production platforms had the following educational effects. First, youth's digital literacy and visual expression skills improved. Second, communication abilities and critical thinking skills were enhanced through collaborative feedback processes. Third, self-expression abilities and creativity developed through the process of visualizing their own stories. Fourth, achievement and confidence improved through online sharing of completed works.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empirically verifying that webtoon production platforms can be effective tools for youth creative education. Furthermore, it provided educational implications responding to future educational environment changes by presenting new art education methodology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youth familiar with digital environments.
영문 초록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웹툰 창작교육 프로그램 개발
Ⅳ. 웹툰 창작교육 프로그램 적용 및 분석
Ⅴ.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예술체육 > 무용분야 BEST
- 생성형 AI가 가짜뉴스의 확산에 미치는 영향 연구
- 생성형 AI를 활용한 광고디자인 연구 - 광고디자인 요소에 따른 생성형 AI 영상광고 사례 분석을 중심으로
- 패션 명품 브랜드에서의 마케팅 변화에 따른 메타버스를 활용한 사례 연구
예술체육 > 무용분야 NEW
- 한 30대 미혼여성의 소마중심 표현예술치유 경험을 통한 자아정체성 형성에 관한 예술 기반 내러티브 탐구
- 미증유의 사회, 한국교육혁신을 위한 통섭적 접근으로의 인문예술은 왜 필요한가?-인문학을 연극과 무용으로 연결하기
- 미래 학교문화예술교육의 향방에 관한 논고- 무용 교육 매개인력 중심 논의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