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사진분야 문화예술교육 발전을 위한 소고: 인덱스(Index)적 관점을 중심으로
이용수 97
- 영문명
-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Culture and Arts Education in Photography: Focusing on the Index perspective
- 발행기관
- 한국문화예술교육학회
- 저자명
- 한민서
- 간행물 정보
- 『모드니예술』제21호, 1~12쪽, 전체 12쪽
- 주제분류
- 예술체육 > 무용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12.31
4,2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This study explored focusing on the index perspective for the development of culture and arts education in the photography field. As many people encounter photography, their access to photography has become closer. It is a positive signal for photography and is also meaningful for culture and arts education. However, it cannot be denied that various distortions and transformation of photography have become possible. At this point, the enhancement of the unchanging index value of photography provides the basis for paying attention to the traces of individuals who are immersed in the process of photographic behavior rather than the fragmentary gaze that distinguished professionals and amateurs. Photography naturally became everyone's medium. In other words, it has become a condition for anyone to do art. It can be said that people who focus on individual fantasy and perform photographic actions consciously perform photographic actions. Photography in culture and arts education becomes a medium to move subjects to photographic moments. Photographic contexts create the tone of the times and lay the foundation for forming discourse through subsequent discussion and interpretation. This study encompasses the point where photographic media should consider in the future based on the characteristics of ‘photographic media’ itself rather than containing only the contents of the development of culture and arts education.
영문 초록
목차
Abstract
Ⅰ. 서론
Ⅱ. 선행연구
Ⅲ. 사진분야 문화예술교육의 의미
Ⅳ. 사진 인덱스 개념 및 의미
Ⅴ. 사진분야 문화예술교육의 인덱스(index)적 관점
Ⅵ . 결론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예술체육 > 무용분야 BEST
- 생성형 AI가 가짜뉴스의 확산에 미치는 영향 연구
- 생성형 AI를 활용한 광고디자인 연구 - 광고디자인 요소에 따른 생성형 AI 영상광고 사례 분석을 중심으로
- 패션 명품 브랜드에서의 마케팅 변화에 따른 메타버스를 활용한 사례 연구
예술체육 > 무용분야 NEW
- 한 30대 미혼여성의 소마중심 표현예술치유 경험을 통한 자아정체성 형성에 관한 예술 기반 내러티브 탐구
- 미증유의 사회, 한국교육혁신을 위한 통섭적 접근으로의 인문예술은 왜 필요한가?-인문학을 연극과 무용으로 연결하기
- 미래 학교문화예술교육의 향방에 관한 논고- 무용 교육 매개인력 중심 논의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