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수업 비평의 필요성과 방법에 대한 탐색적 논의
이용수 6
- 영문명
- A research on the necessities and methods of criticism of classroom instruction
- 발행기관
- 한국교육인류학회
- 저자명
- 이혁규
- 간행물 정보
- 『교육인류학연구』제10권 제1호, 155~185쪽, 전체 31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7.01.31
6,5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논문은 한국의 수업 문화를 바꾸기 위한 한 방법으로 수업 비평을 활성화하는 것이 필요함을 주장한다. 우리의 수업 문화는 고립적이고 개인주의적이다. 이로 인해 수업에 대한 소통적이고 생산적인 대화가 잘 이루어지지 않는다. 그리고 기존의 수업 관찰법은 이런 문제를 개선하는데 크게 도움이 되지 못한다. 수업 비평은 구체적인 수업에 대한 깊이 있는 이해와 수업 개선을 위한 정보를 제공해 줌으로써 수업 문화를 개선하는데 기여할 수 있다. 필자는 수업 비평의 실제 경험을 바탕으로 하여 수업 비평의 개념, 의의, 방법, 사례 등을 예시하였다. 이 논문은 수업 비평론 정립을 위한 시론적인 논의로 앞으로 수업 비평의 구체적 사례 축적과 함께 비평론을 이론적으로 정립해야 하는 과제를 남겨두고 있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boost criticism of classroom instruction in order to renovate Korean school culture in which a teacher is too individualistic and isolated from his colleagues. Existing classroom research method and its related theory isn't effective to create productive and communicative dialogue among teachers. In these situations, the criticism of classroom instruction might be a new approach to renovate the school culture, giving a deep understanding on classroom instruction and a concrete advice for classroom practices. This article illustrates a definition, methods, and a real example of classroom criticism.
영문 초록
목차
I. 들어가며
Ⅱ. 우리 수업 문화의 현주소
Ⅲ. 수업을 보는 기존 접근법의 한계
Ⅳ. 수업 비평으로 새롭게 여는 수업 이야기
Ⅴ. 수업 비평의 실제 사례
Ⅵ. 수업 비평을 시도하려는 교사(연구자)를 위하여
Ⅶ. 나가며
참고 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Hearing Loss Index and Aging-Based Forecasting
- Recent Technological Trends in Hearing Aids: Advanced Features and Clinical Validation by Global Manufacturers
- Characteristics of Verb Retrieval According to Hoehn and Yahr Stage in Idiopathic Parkinson's Disease Patients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