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초임교사의 통합교육과정 개발과 운영을 저해하는 학교문화에 대한 내러티브적 접근

이용수  7

영문명
A narrative inquiry on school culture disturbing a beginning teacher`s development and management of integrated curriculum
발행기관
한국교육인류학회
저자명
박한숙
간행물 정보
『교육인류학연구』제10권 제1호, 63~88쪽, 전체 26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07.01.31
5,9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초등학교 초임교사들의 통합교육과정 개발과 운영 경험에 관한 내러티브 탐구이다. 연구 대상자로 교사 경력 3-4년 정도의 초임교사 3명을 대상으로 초등학교 중학년과 고학년 담임을 하는 가운데 통합교육과정의 개발과 운영 과정에서 어떠한 경험을 하며, 그 경험은 어떤 의미를 가지는가를 탐색하였다. 초임교사들은 학교 현장에서 교육과정을 통합해서 가르치는데 있어 대학에서 배운 이론과 학교 현실 사이에서 심한 괴리감을 가지고 갈등을 경험하며 특히, 그것을 실행해 가는 과정에서 시간, 환경, 관리자와의 관계 등에서 어려움을 강하게 경험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경험을 이야기하고 나누는 가운데 교사들은 통합교육과정 수업 운영에 있어 자신의 위치와 역할을 재인식하게 되고 기존에 겪었던 갈등을 ‘교실 안의 장소’에서 ‘교실 바깥의 장소’로 가져 나와 보다 적극적이고 안정적인 통합교육과정 개발과 운영을 모색하도록 하는데 도움을 주었다는데 본 연구의 교육적 의미가 있다. This study attempts to describe three beginning teacher's experience on development and management of integrated curriculum for 8 months in elementary school. Participating were three teachers on their first 3-4 years of teaching. Their first 3-4 years experience and its meaning are explained. Narrative inquiry was adopted to reveal the teacher's whole school life developing and managing integrated curriculum in 3rd-6th grades. Data are collected and extracted from teacher journals, e-mail and open interviews. The data are classified into domain and taxonomic analysis and a series of systematized events. By the teacher's retelling of their experiences, the events are confirmed and compiled.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 that beginning teachers have experienced deep estrangement between practice and theories. And they are faced with the problems organizing their time schedule, persuading colleague teachers and relating with administrators. They fit their behavior and thinking to their surrounding consequently in developing and implementing the integrated curriculum. While the beginning teacher talking about their disagreements and troubles, they recognize their status and position in trying the integrated curriculum and eventually solutions are found. The solutions are gained by revealing and talking about their secret story, which they confront in the school with peer teachers group, administrators and parents. They found their new role and a new understanding in managing classrooms in integrated curriculum. The suggestion of this study is that narrative inquiry can be a useful method in exploring the field of classroom curriculum related to a beginning teacher's experience.

영문 초록

목차

I. 문제의 제기
Ⅱ. 연구 절차
Ⅲ. 현장 텍스트의 제시
Ⅳ. 세 초임교사의 통합교육과정 개발 및 운영의 의미 찾기
V. 이야기 다시하기
참고 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박한숙. (2007).초임교사의 통합교육과정 개발과 운영을 저해하는 학교문화에 대한 내러티브적 접근. 교육인류학연구, 10 (1), 63-88

MLA

박한숙. "초임교사의 통합교육과정 개발과 운영을 저해하는 학교문화에 대한 내러티브적 접근." 교육인류학연구, 10.1(2007): 63-88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