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아동교육 연구의 현상학적 접근: 역사와 과제
이용수 6
- 영문명
- Phenomenological Approaches in Researching the Childhood Education: Its History and Future
- 발행기관
- 한국교육인류학회
- 저자명
- 유혜령
- 간행물 정보
- 『교육인류학연구』제8권 제1호, 57~90쪽, 전체 34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5.01.31
6,8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글은 현상학이 교육연구에 있어 어떠한 맥락에서 어떠한 흐름으로 발전 하여 왔는지를 살펴보고, 현재 현상학적 교육연구의 한계로 인식되고 있는 접에 기초하여 앞으로의 과제를 살펴 본 것이다. 교육연구에 있어 현상학적 접근의 역사는 첫째. 1950. 60년대에 유럽에서 철학적 인간학의 한계를 넘어서고자 시도된 현상학적 교육인간학으로 출발한 ‘인간학적 접근’과, 툴째, 삶의 일상적인 경험 차원을 중시하는 ‘생활세계적 접근’! 셋째, 북미의 교육과정 재개 념론자들에 의해 교육과정의 이해 논리의 사상적 기초로 발전한 ‘재개념적 접근’으로 나눌 수 있다. 대체로 유럽 학계에서의 교육현상학 연구가 생철학. 교육인간학 둥과 연계되어 아동의 생활세계에 대한 철학적 · 이념적 논의를 활성화시킨 데 비해, 북미 학계에서는 아동의 생활세계에 대한 질적연구방법론으로, 그리고 실존철학, 해석학, 기호학j 정신분석학 동과 련계되연서 교육 실제 전반에 걸쳐 전격적이고 근원적인 성찰을 촉구하는 반성적 교육이론으로 발전 하였다. 그 과정에서 교육현상학적 연구는 현상학과 교육학 사이에서 철학의 이론적 엄밀성과 학문적 자율성 사이에서의 갈등과, 실천성의 부족, 미시적 접근의 한계, 지나치게 난해한 글쓰기의 문제, 연구 기법 중심의 질적연구 풍토 라는 문제점들을 안고 있다. 이러한 점들을 극복하는 방안으로, 모든 현상이 지닌 근원적인 교육학적 의의를 강조하며 교육 현상에 대한 관심을 활성화서 키야 한다는 “교육현상학”의 관점을 제안하였다.
It is attempted in this study to investigate the historical streams of phenomenological approaches in researching the childhood education and its future tasks to achieve. This is to clarify what could be indentified as the genuine nature of phenomenological research and its most important implications for educational research. Three historical streams of phenomenological approaches have been identified: the first would be termed as the ‘anthropological approaches,’ the second as the ’lifeworld approaches,’ and the last as the ’reconceptualization approaches. I The first has developed out of the German anthropological context where to understand a man as a whole being proceeded any scientific understanding. The second has placed the stress on the primordial and everyday experience of human beings, which has evolved from Husserl’s later philosophy of Lebenswelt. It has gradually activated the qualitative research movement on child's life experience. The last movement has developed as the philosophical underpinnings for curriculum reconceptualists in North America, who emphasize the logic of ’understanding,’ i.e., understanding the educational phenomena with their hidden and inner meaings that students experience, as the formost principle in curriculum theories. Received in association with existentialism, hermeneutics, semiotics and psychoanalysis, it has brought forth the full-scaled self-reflection on educational reality among curriculum scholars. The tasks that the phenomenological research on childhood education should achieve, are related to its current problems. They can be listed as follows. Firstly, the problem of the inner conflict to sustain an academic autonomy. It is the problem of balancing between high-nosed philosophy with strict theories and the loosely-applied science such as education. Secondly, the lack of practical implications usually raised by the people with empirical and the critical paradigms. Thirdly, the problem of requiring tough and refined writing. And lastly, the problem of technique-oriented research tendency among Qualitative researchers. Conclusion is made that the genuine nature of phenomenological approaches should be found in its original concern for "the things themselves," that awakens our consciousness about the nautre or essence of educational phenomena, in and of itself always and already human phenomena, that is the issue of human becoming.
영문 초록
목차
I. 들어가며
II. 아동교육 연구와 현상학
III. 아동교육 연구의 현상학적 동향
IV. 현상학적 아동교육 연구의 한계와 과제
V. 글을 맺으며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제28권 제2호 목차
- 컴퓨터 기반 평가의 문항 유형별 응답 분석: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 중학교 수학을 중심으로
- 역사적·심리적 발달에 따른 선형대수 학습 수준에 대한 고찰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