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에릭슨의 '생식성'개념의 의미에 대한 인류학적 검토
이용수 0
- 영문명
- A Reconsideration on Erikson's Concept of Generativity: Its Conceptual Shifts from 1950's to Early 1960's
- 발행기관
- 한국교육인류학회
- 저자명
- 박아청
- 간행물 정보
- 『교육인류학연구』제8권 제1호, 39~56쪽, 전체 18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5.01.31
4,9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소고의 목적은 1950년대와 1960년대 전반에 걸쳐서 에릭슨이 제안한 generativity(생식성) 개념의 형성과정을 고찰함으로써 이 용어가 갖는 의미를 명확하게 밝히는데 있다. 생식성이란 용어는 에릭슨이 평생주기론에서 ‘성인기’를 특징짓는 심리사회적 감각을 표현하기 위해서 만든 개념이다. 1950년에서 1980년대에 걸쳐서 그가 이 개념을 반복하여 언급하고 있는데, 이에 대한 설명이 시간이 지남에 따라 조금씩 변화를 보이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본 소고에서는 1950년에 그가 프로이트의 이론을 발전시켜 이 생식성의 개념을 형성하였는데, 1960년대 전반에서 세대주기와 같은 입장을 도입하면서 생식성의 의미내용이 비약적으로 중대한 과정올 밝힌다. 스스로 자신의 자식을 생산하는 것, 즉 ‘성기기’가 가져다주는 귀결으로서의 생식과 관련된 것으로 시작된이 생식성의 개념은 제시될 때는 생물적인 개념이었으나 점차 단순한 생리적 심리적 차원올 넘어 문화적 철학적 차원에서 차세대를 생산하는 능력을 포함 하는 다양한 의미를 포함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기본적으로 생식성이란 차 세대를 생산하는 것, 무엇이든 부모적인 책임에 전념을 다 쏟아 어떤 대상을 만들어 내는 것에 그 의미를 두고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larify the meaning of the term "generativity" which E. H. Erikson presented from 1950's to early 1960's, by examining the process of its construction. The term was first proposed by Erikson to characterize the psycho-social sense of adulthood in his life-cycle theory. He treated this concept repeatedly from 1950's to 1980's, but its expositions show gradual shifts in scope. This study finds that he constructed the concept of generativity from S. Freud's psycho-sexual theory, but he phenomenally expanded the scope of its meaning by incorporating a new perspective of human generational cycle in the early 1960's. The concept of generativity started out as a biological one to be related to procreativity as a consequence of genitality or to spontaneous procreation of one's offspring, but gradually it became more inclusive to also mean the ability to produce a next generation in a cultural and philosophical sense which is beyond the simple physiological and psychological consideration. Basically generativity means the procreation of the next generation and creating an object, whatever it is, by concentrating the whole attention under the parental responsibility.
영문 초록
목차
I. 프로이트 이론의 발전
II. 세대주기와 사회진화의 핵으로서 생식성
III. 맺는 말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제25권 12호 목차
- 생성형 AI 챗봇과 중학생의 영어 자유대화 학습경험 사례 분석
- 상담학 전공 학부생의 현직 아동상담사 인터뷰 과제 경험: CQR-M을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