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사이버 수업 상호작용에 대한 시계열적 분석: K사이버대학을 중심으로
이용수 2
- 영문명
- A qualitative research on the interaction of virtual university
- 발행기관
- 한국교육인류학회
- 저자명
- 정민승
- 간행물 정보
- 『교육인류학연구』제8권 제1호, 149~171쪽, 전체 23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5.01.31
5,5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사이버 교육은 연대연 교육의 암묵적 영역을 가시화한다. 모방하기 어려운 것이라 여겨졌던 교사의 학생에 대한 장악력이나 전달력의 노하우까지도 사이버에서는 ‘교수설계’의 과정을 통해 드러내고자 한다. 이련 첩에서, 사이버교육은 면대면 교육에 녹아들어 있던 가르침과 배움의 영역을 전면화하여 분석하고자 하는 경향성올 가진다. 예컨대, 교사와 학생, 학생과 학생, 학생과 교육내 용간의 ‘상호작용’의 중요성은 원격교육론의 기본적 지식을 구성하지만, 그 범주는 면대면 상황과 크게 다르지 않다. 이런 점에서 사이버 수업에 대한 분석 은 연대연 수업의 비분절적 영역들을 새롭게 조명할 수 있도록 해준다. 이 연구는, 기존의 행위주체별 상호작용에 더하여 시간 축에 따른 집합적 상호작용 이라는 틀로 사이버 수업을 분석함으로써 사이버 수업에 대한 새로운 분석시각을 제안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호작용주체와 시계열적 흐름을 두 축으로 삼아 활동을 분석하면, 몇가지 유의미한 활동에 대한 제안이 제시될 수 있다. 예컨대, 현재 학습활동의 중심 축은 수엽형성적 활동에서는 학습자와 학습자간의 상호작용이, 수업활동에서 는 학습자와 컨텐츠간, 수업보강적 차원에서는 교육자와 학습자간의 상호작용 이 주축을 이루고 있다. 이는 역으로 다차원적 학습지원을 위해 필요한 영역을 알려준다. 예컨대 수엽형성적 활동에 교수자가 할 수 있는 역할이라던가 사이버 문화화를 위한 사전 교육프로그램등의 제공은 학습자가 보다 개방적으로 수업에 입할 수 있도록 돕는 장치가 될 수 있으며, 수업 보강적 차원에서 스터디 팀의 활용은 기존의 학습자료 공유를 넘어서서 유비쿼터스 학습을 가 능하게 해주는 단위가 될 수 있다.
Cyber-communication has great potential on educational interaction. It visualize the dimension of tacit interaction of face-to-face education. That is the reason why professionals of educational technology emphasize instructional design of cyber-c1ass. Up to now, the course designers of cyber-education have based on Moore’s theory. The subjects of interaction divided into three part : student-student, student-teacher. student-contents. This study reveals the process of interaction descriptively for analysis of group dynamics, As class goes by, students make different situation which can be data for instruction. For example, student-student interaction appear frequently during c1ass-fonnation goes on while student-teacher interaction generates supplementary lecture. It means the analysis of subject-centered interaction can be fill up with sequence of online class. There is little attention for caring student to copy with difficulties of technologies in student-teacher interaction before class is open. Student-contents interaction needs more consideration of reinforcement after class. Those attempts helps students to study ubiquitously.
영문 초록
목차
I. 들어가며
II. 사이버 수업의 진행과정
III. 사이버 수업상호작용의 특수성
IV.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