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구조적 토픽 모델링(STM)을 활용한 사회학적 취향의 구조적 분석
이용수 51
- 영문명
- Structural Analysis of Sociology of Taste Using Structural Topic Modeling(STM)
- 발행기관
- 한국여가문화학회
- 저자명
- 곽민정 강권현 김민규
- 간행물 정보
- 『여가학연구』제22권 제4호, 65~88쪽, 전체 24쪽
- 주제분류
- 예술체육 > 예술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11.30
5,6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사회학적 취향에 관한 연구의 주요 토픽을 파악하고 토픽 간 관계와 특성을 알아보기 위해 구조적 토픽 모델링(STM)을 활용했다. 연구 대상은 1990년부터 2024년까지 발표된 사회학적 취향을 주제로 한 국외 학술 논문 197편이며, 각 논문의 초록을 분석하여 주요 토픽 8개를 도출하였다. 토픽 주제는 1) Musical preferences and dislikes, 2) Leisure and cultural boundaries, 3) Family and musical taste, 4) Social class and leisure taste, 5) Generations and cultural practices, 6) Musical taste and social relationships, 7) Art and cultural capital, 8) K-Pop and fandom로 나타났다. 토픽 발현율 분석 결과, T4, T6, T5, T7이 상위 토픽을 차지하였다. 시간에 따른 토픽 동향은 T6이 지속해서 높은 발현율을 보였으며, T8은 최근에 증가하는 추세를 보임을 알 수 있었다. 연구 결과, 사회학적 취향은 문화자본과 계급, 세대 간 문화 차이, 온라인 공동체, 취향의 사회적 역할 등의 큰 범주로 구분됨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는 사회학적 취향에 관한 연구를 종합적으로 이해하고 미래 연구 방향을 탐색하는 기초자료를 제공하였다는 데 의의가 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employed Structural Topic Modeling (STM) to identify the main topics in sociological taste research and to understand the relationships and characteristics between these topics. The research analyzed abstracts from 197 international academic papers on sociological taste published between 1990 and 2024, resulting in the identification of eight main topics: 1) Musical preferences and dislikes, 2) Leisure and cultural boundaries, 3) Family and musical taste, 4) Social class and leisure taste, 5) Generations and cultural practices, 6) Musical taste and social relationships, 7) Art and cultural capital, and 8) K-Pop and fandom. Analysis of topic prevalence revealed that topics T4, T6, T5, and T7 were the most prominent. Examining topic trends over time showed that T6 consistently maintained a high prevalence, while T8 demonstrated an increasing trend in recent years. The research findings indicate that sociological taste studies can be broadly categorized into areas such as cultural capital and class, generational cultural differences, online communities, and the social role of taste. This study contributes to the field by providing a comprehensive understanding of research on sociological taste and offering foundational data for exploring future research directions. Its significance lies in its holistic approach to analyzing trends and relationships within sociological taste research.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예술체육 > 예술일반분야 BEST
- 생성형 AI가 가짜뉴스의 확산에 미치는 영향 연구
- 생성형 AI를 활용한 광고디자인 연구 - 광고디자인 요소에 따른 생성형 AI 영상광고 사례 분석을 중심으로
- 패션 명품 브랜드에서의 마케팅 변화에 따른 메타버스를 활용한 사례 연구
예술체육 > 예술일반분야 NEW
- 한 30대 미혼여성의 소마중심 표현예술치유 경험을 통한 자아정체성 형성에 관한 예술 기반 내러티브 탐구
- 미증유의 사회, 한국교육혁신을 위한 통섭적 접근으로의 인문예술은 왜 필요한가?-인문학을 연극과 무용으로 연결하기
- 미래 학교문화예술교육의 향방에 관한 논고- 무용 교육 매개인력 중심 논의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