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배드민턴 동호인의 여가태도가 운동몰입, 여가기능,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이용수 45
- 영문명
- The Impact of Leisure Attitude of Leisure Sports Participants on Exercise Flow, Leisure Function, and Quality of Life : Focus on Badminton Clubs
- 발행기관
- 한국여가문화학회
- 저자명
- 김영미 오세숙
- 간행물 정보
- 『여가학연구』제22권 제4호, 1~17쪽, 전체 17쪽
- 주제분류
- 예술체육 > 예술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11.30
4,8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여가스포츠 참여자의 여가태도가 운동몰입, 여가기능,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규명하여, 여가스포츠활동을 통한 현대인의 건강과 삶의 질을 긍정적으로 높이는 것에 있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을 위해 G지역의 배드민턴 동호회에 가입하여 운동에 참여하고 있는 225명을 대상으로 2024년 4월 14일 ~ 2024년 5월1일까지 자기평가기입방식으로 설문조사를 실행하였다. 불성실한 데이터를 제외하고 최종적으로 210부를 SPSS 26.0과 AMOS 22.0을 활용하여 빈도분석, 확인적요인분석 및 적합도지수 분석, 신뢰도분석, 상관관계분석, 그리고 회귀분석을 사용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도출하였다. 첫째, 여가스포츠 참여자의 여가태도는 운동몰입, 여가기능, 그리고 삶의 질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여가스포츠 참여자의 여가태도와 삶의 질 간의 관계에서 운동몰입과 여가기능이 부분적으로 매개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여가스포츠 참여자의 적극적인 여가태도는 운동몰입, 여가기능, 삶의 질에 효과적으로 영향을 미친다고 할 수 있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and clarify the influence of leisure attitudes of leisure sports participants on exercise flow, leisure function, and quality of life. This aims to improve the health and personal quality of life of modern people by strengthening positive motivation and active participation in leisure sports activities. To achieve the purpose of the study, a survey was conducted using the self-assessment input method targeting 225 participants in badminton club activities in the G region from April 14, 2024 to May 1, 2024. A total of 210 responses were considered for analysis after excluding unreliable data. This study performed frequency analysis,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and regression analysis using SPSS version 26.0 and AMOS version 22.0.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The leisure attitudes of leisure sports participants were found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exercise flow, leisure function, and quality of life. Exercise flow and leisure function were found to partially mediate the relationship between leisure attitudes and quality of life of leisure sports participants.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active leisure attitude of leisure sports participants is effective in promoting exercise commitment, improving leisure function, and ultimately improving quality of life.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Ⅳ. 결론과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예술체육 > 예술일반분야 BEST
- 생성형 AI 도구와 디자이너의 협업 프로세스 개발 - 이미지를 통한 아이디어 확산에서 고해상도 렌더링까지
- 영화 [올드보이]와 소포클레스 「오이디푸스 왕」의 상동성 연구
- ‘일과 삶의 균형(Work-Life Balance)’ 척도 개발을 위한 연구
예술체육 > 예술일반분야 NEW
- Z세대 생활체육 동호인들의 SNS 중독 경향성과 불안정 성인애착이 완벽주의적 자기제시 및 우울에 미치는 영향
- 즐거움과 몰입을 통한 수익성 기대가 NFT 구매 의도에 미치는 매개효과 분석: UTAUT2와 합리적 무관심(RI)을 중심으로
- 생태체험이 청소년의 자연친밀감, 환경태도, 환경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