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노동인권교육의 재구조화와 수업 전략들
이용수 144
- 영문명
- The Critical Reconstruction of Labor Related Human Rights Education and Teaching Strategies for Labor Related Human Rights Education Reconstructed
- 발행기관
- 한국사회과수업학회
- 저자명
- 장원순
- 간행물 정보
- 『사회과수업연구』제12권 제2호, 91~116쪽, 전체 26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09.30
5,9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노동은 인간 삶에 지대한 영향을 미친다. 따라서 모든 인간이 존엄한 삶을 살아가기를 희망한다면, 노동에 인권이 온전히 적용되어야 한다. 그러나 기존 노동인권교육은 노동에 전체 인권을 온전히 적용하지 못하였다. 예를 들어 노동에서 인권은 노동권으로 한정되었으며, 노동에 정치권 적용에 소극적이었다. 그리고 인권보다는 시민권에 초점을 두었으며, 교육내용은 다소 추상적이었다. 이에 현재의 노동인권교육은 전체 인권의 관점에서 재구조화될 필요가 있다. 앞으로의 노동인권교육은 노동이 인권에 기반한 행복한 노동이 될 수 있도록 해야 하며, 노동의 역사를 전체 인권의 관점에서 비판적으로 검토해야 한다. 그리고 현대사회의 노동구조와 체계를 전체 인권의 관점에서 비판적으로 살펴보고, 이들이 보다 인권 친화적으로 될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한다. 그리고 노동인권교육은 노동자의 노동3권뿐만 아니라 노동자의 적극적이고 확대된 정치참여와 작업장 민주주의 등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한다. 그리고 청소년의 노동과 미래사회의 노동이 인권에 기반한 행복한 노동이 될 수 있도록 하고, 노동에서 전체 인권이 지켜지고 실현되도록 노력해야 한다. 노동은 이제 경제 논리에 한정되어서는 안 되며, 인간의 존엄성을 증진하고 모든 사람들의 행복한 삶을 위한 것이어야 한다.
영문 초록
Labor brings big effect on human life. Therefore, if we hope people live with human dignity, the whole human rights must be applied to labor. But, in now, the whole human rights is not applied to the current labor related human rights education. For example, in the current labor related human rights education, human rights in labor is limited to article 23, 24 of universal declaration of human rights, and political rights is not applied to labor. And the current labor related human rights education focus on civil rights rather than human rights, and the content of the current labor related human rights education is a little abstract. Therefore, the current labor related human rights education need to be reconstructed in perspective of the whole human rights. The Alternative labor related human rights education have to make contributions for students to has well being (eudaimonia) based on human rights, and to examine labor history critically in perspective of the whole human rights, and to examine the structure of labor in the contemporary society critically in perspective of the whole human rights and to make labor to be human rights friendly. And The Alternative labor related human rights education must teaches laborer’s political rights as well as labor’s three primary rights. And The Alternative labor related human rights education must make much efforts for youth’s labor and labor in future to be well-being(eudaimonia) based on human rights and make much efforts for the whole human rights to be applied to labor. Labor must not be performed only for economic logic. It must be performed for all people’s well-being and human dignity.
목차
Ⅰ. 서론
Ⅱ. 노동과 인권 그리고 교육의 만남
Ⅲ. 현재의 노동인권교육의 방향과 내용체계 그리고 한계
Ⅳ. 노동인권교육의 재구조화: 방향, 내용체계, 수업 전략들
Ⅴ.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학습도시를 활용한 스마트시티의 디자인 개선
- 성인 문해능력 수준 결정요인의 변화 양상: 의사결정나무를 활용한 2014년과 2023년 비교 연구
- 스포츠를 중심으로 한 마을공동체 구성원의 학습경험에 대한 연구: 렉섬 사례를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