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희랍의 고대 교육과 에로스
이용수 30
- 영문명
- Ancient Greek Paideia and Eros
- 발행기관
- 한국도덕교육학회
- 저자명
- 진현경
- 간행물 정보
- 『도덕교육연구』도덕교육연구 제36권 제3호, 23~44쪽, 전체 22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09.30
5,4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현대 교육에서 희랍의 남성 동성애가 주목의 대상이 되는 것은 동성애 자체가 아니라 동성애라는 에로스적 관계에서 향유되는 가치 또는 에로스에서 확인되는 내용의 전달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희랍 파이데이아 문화에 면면히 흘러온 에로스를 희랍 교육의 공통적 ‘원리’ 또는 ‘방법’으로 파악한 역사가 앙리 마루의 관점을 받아들이면서, 희랍 교육의 방법적 원리로서의 에로스가 희랍의 상이한 지역과 시대 속에서 구체적으로 어떻게 작용하였고 또 어떻게 변화되었는가를 검토하는 데 있다. 에로스가 희랍의 ‘무사 문화’와 ‘문사 문화’에서 각각 어떠한 양상으로 작동하였는가를 살펴보는 일은 희랍고대 교육사를 개관하는 것 이상으로, 오늘날 학교 교육에서 이루어지는 실제적 지식(활동)과 이론적 지식(개념)의 전달 기제를 세밀하고 역동적으로 설명해줄 수 있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how Eros as a methodological principle of Greek Paideia worked and changed in different regions and times of Greek, accepting Marrou's perspective on Eros that flowed as a common 'principle' or 'method' of Greek Paideia. Examining how Eros worked in Greek "Warrior Culture" and "Scribe Culture" is more meaningful than an overview of the ancient history of Greek education. It can dynamically explain the mechanisms by which practical knowledge(activity) and theoretical knowledge(concept) are transmitted in education today, respectively.
목차
Ⅰ. 서론
Ⅱ. 무사 문화에서의 에로스
Ⅲ. 문사 문화에서의 에로스
Ⅳ.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더보기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