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푸코 철학의 한계-조건 - 『말과 사물』을 중심으로 -
이용수 84
- 영문명
- The Limitation and Condition of Foucault’s Philosophy - Focusing on The Order of Things -
- 발행기관
- 서강대학교 철학연구소
- 저자명
- 박민철
- 간행물 정보
- 『철학논집』제78집, 197~225쪽, 전체 29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철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08.31
6,2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서구 합리성에 대한 푸코의 비판이 가장 명확하게 드러나는 『말과 사물』을 분석하면서 근대 서구의 합리성을 비판하기만 할 뿐 그 자신은 한번도 모습을 드러난 적 없었던 ‘푸코의 합리성’을 가시화한다. 『말과 사물』에서 푸코는 고전주의와 근대의 에피스테메를 구분하기 위해 벨라스케스의 시녀들을 참조하며 ‘왕의 자리’를 도입한다. 그런데 근대인의 시선에만 포착될 ‘왕의 자리’를 이용해 두 에피스테메를 설명한다는 사실로부터 우리는 ‘서구 근대’라는 푸코의 합리성을 확인할 수 있다. 이 점은 고고학이 근대적 질서에 속하는 ‘초월성’과 ‘역사’의 결합으로 작동한다는 점에서 다시 한번 확인된다. 그러나 서구 근대라는 한계는 동시에 푸코 사유의 조건이 되고, 이 조건으로부터 푸코는 근대의 사유 공간을 문제 삼는다. 그리고 고고학에게 주어진 가능성의 끝에서 우리는 자신의 한계로부터 출발하여 자신의 한계 위에 군림한 사드를 발견한다.
영문 초록
This paper visualizes and criticizes Foucault's rationality, which criticizes the rationality of the modern West but has never been revealed himself. Foucault's criticism of Western rationality is most clearly shown in The Order of Things. In this book, Foucault introduces ‘the place of king’ to highlight the difference between epistemes. However, ‘the place of king’ conversely reveals Foucault's position as ‘Western modernity’, and archeology, a combination of transcendence and history, is also located within the thoughts of Western modernity. But at the same time, Western modernity as limit becomes a condition for Foucault’s thought, and from this condition, Foucault problematizes the modern thoughts. Finally Foucault’s archeology finds its possibility from Sade, who starts from his own limitations but reigns over them at last.
목차
I. 서론
II. 왕의 자리
III. 푸코의 한계
IV. 현행적 사유: 자신의 한계 속에서 사유하기
V. 결론: 푸코 사유의 출구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인문학 > 철학분야 NEW
- 디지털 시민성 함양을 위한 철학적 탐구공동체 중등 수업 사례
- 프랑스 철학교육사 속 어린이철학과 그 함의: 우리 어린이철학교육의 지향을 모색하며
- 그림책 철학수업에서 구현 가능한 미적 경험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