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국내 특수교육 메타분석 연구에서의 출판편향
이용수 84
- 영문명
- Publication Bias in Special Education Meta-Analyses in Korea
- 발행기관
- 한국학습장애학회
- 저자명
- 이아현
- 간행물 정보
- 『학습장애연구』제21권 제2호, 111~132쪽, 전체 22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08.31
5,4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국내에서 출판된 메타분석 연구를 대상으로 출판편향 보고 동향을 확인하고, 회색문헌을 포함한 연구의 비율, 출판편향 검증을 포함한 논문의 비율과 사용된 검증 방법, 회색문헌의 포함과 출판편향의 존재 간의 관련성을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연구를 위하여 국내 특수교육분야의 17개의 전문 학술지에 출판된 총 128편의 연구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최근 메타분석 연구의 수와 출판편향 검증을 보고한 연구의 수는 급격하게 증가하고 있었다. 둘째, 약 45%의 연구가 회색문헌을 포함한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35%의 연구가 출판편향을 검증하였으며, 이를 위해 다양한 방법을 사용하고 있었다. 마지막으로, 회색문헌을 포함하는 메타분석 연구가 출판편향이 존재하지 않을 확률이 회색문헌을 포함하지 않는 메타분석 연구보다 높았다. 이와 관련하여 시사점과 향후 메타분석 연구의 방향을 논의하였다.
영문 초록
The current study aimed to analyze the proportion of reporting publication bias, including grey literature, testing for publication bias, and the relation between grey literature and publication bias among meta-analyses published in Korea. A total of 128 studies published in 17 special education journals were analyzed; first, the number of meta-analyses and those including testing for publication bias has dramatically increased. Second, 46% included grey literature. Third, 35% examined publication bias using various methods. Finally, studies not including grey literature were more likely to involve publication bias compared to those including grey literature. Implications and future direction of research were discussed.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및 제언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