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귀환 재외동포 노인 여가 취향 개념화 연구
이용수 58
- 영문명
- A Study on the Conceptualization of Leisure Taste for Returning Overseas Koreans
- 발행기관
- 한국여가문화학회
- 저자명
- 곽민정 김민규
- 간행물 정보
- 『여가학연구』제22권 제3호, 1~23쪽, 전체 23쪽
- 주제분류
- 예술체육 > 예술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08.31
5,5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귀환 재외동포 노인의 여가 취향을 개념화하고, 이들의 여가 취향을 형성하는 요인을 탐색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노인, 여가, 재외동포 전문가 10명으로 자문위원을 구성하고 델파이조사를 시행하였다. 1차 델파이조사는 개방형 설문으로 자문위원의 자유로운 의견을 수집하였으며, 2, 3차 델파이조사는 1차 조사를 바탕으로 구성한 폐쇄형 설문으로 개념 정의와 요인의 타당성을 검증하였다. 문항의 타당성을 검증하기 위하여 기술통계치, 집중경향치, 긍정률을 사용하였다. 연구 결과, 귀환 재외동포 노인의 여가 취향 개념은 ‘과거의 향수를 상기시킬 수 있는, 이전 거주국의 문화와 한국문화의 융합 속에서 새로운 여가 활동 참여를 결정하게 하는 요인’으로 정의되었다. 귀환 재외동포 노인의 여가 취향을 형성하는 요인은 건강 상태와 여가를 위한 배경을 ‘개인적 요인’, 생활 여가 인프라와 여가를 함께하는 주요 타자를 ‘사회적 요인’, 기존의 국적국 여가문화와 귀환 후 한국에서의 여가문화를 ‘문화적 요인’, 여가에 관한 지식과 생애 시기에 따라 축적된 경험적 정보를 ‘정보적 요인’으로 정리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개인 내적동기와 체류 자격이 고려되지 않았다는 점에서 제한점이 있으며, 이를 바탕으로 한 후속 연구가 필요하다는 점을 제언하였다. 본 연구는 귀환 재외동포 노인의 여가 취향에 관한 개념과 요인을 정의함으로써 이들을 위한 여가정책과 프로그램 설계의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는 점에 의의가 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s to conceptualize the leisure tastes of returning elderly overseas Koreans and explore the factors shaping these tastes. To this end, a Delphi survey was conducted with a panel of 10 experts in the fields of elderly care, leisure, and overseas Koreans. The first round of the Delphi survey used open-ended questions to gather the free opinions of the panel members, while the second and third rounds used closed-ended questionnaires based on the first round to validate the conceptual definitions and factors. Descriptive statistics, central tendency measures, and approval rates were used to verify the validity of the items. The results of the study defined the concept of leisure tastes of returning elderly overseas Koreans as "factors that influence the decision to participate in new leisure activities through a fusion of the culture of their previous residence and Korean culture, evoking nostalgia from their past." The factors shaping the leisure tastes of these individuals were categorized into 'personal factors' such as health status and background for leisure, 'social factors' such as living leisure infrastructure and key companions for leisure, 'cultural factors' such as the leisure culture of their former country and that of Korea after their return, and 'informational factors' such as knowledge about leisure and empirically accumulated information over their lifetime. The study acknowledged limitations, including the exclusion of personal intrinsic motivation and residency status, suggesting the need for follow-up research based on these aspects.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lies in its definition of the concepts and factors related to the leisure tastes of returning elderly overseas Koreans, providing foundational data for designing leisure policies and programs for this demographic.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델파이조사 결과
Ⅳ. 논의 및 결론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예술체육 > 예술일반분야 BEST
- 빅데이터를 활용한 워케이션 트렌드 분석
- 생성형 AI 도구와 디자이너의 협업 프로세스 개발 - 이미지를 통한 아이디어 확산에서 고해상도 렌더링까지
- 청소년기의 치료레크리에이션 프로그램을 적용한 디지털 디톡스(Digital Detox) 효과성 연구
예술체육 > 예술일반분야 NEW
- 영화는 경찰 부패를 어떻게 재현하는가: 정당화와 침묵의 서사 분석
- 알모도바르의 영화 <룸넥스트도어 The Room Next Door>를 통해 본 죽음의 사회적 드라마
- 안성기의 스타 페르소나 연구: 1980년대 영화를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