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관광객의 지각된 가치, 태도, 행동의도의 관계에서 관광지이미지 조절효과 : 해양레저관광지 전곡항을 중심으로
이용수 90
- 영문명
- The Moderating Effect of Tourism Destination Imag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erceived Value and Behavior Intention : Focusing on marine leisure tourist center, Jeongok Port
- 발행기관
- 한국여가문화학회
- 저자명
- 김종순 이동규
- 간행물 정보
- 『여가학연구』제22권 제3호, 25~44쪽, 전체 20쪽
- 주제분류
- 예술체육 > 예술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08.31
5,2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전곡항에 방문한 관광객을 대상으로 지각된 가치가 태도와 행동의도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고, 관광객의 지각된 가치와 태도 및 행동의도의 관계에서 관광지이미지의 수준에 따른 조절효과가 어떻게 나타나는지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경기도 화성시에 위치한 전곡항을 찾은 관광객 275명을 대상으로 조사했다. 자료의 수집은 설문지를 활용했다. 자료의 분석은 SPSS 26 프로그램을 사용하였으며, 기술분석, 신뢰도 분석, 상관분석, 다중회귀분석 및 조절효과 검증을 위해 PROCESS macro 3.4ver의 Model 1을 활용하여 분석을 실시했다. 연구 결과 첫째, 지각된 가치의 품질적, 정서적, 사회적 요인은 태도에 영향을 미친다. 하위요인 중 경제적 가치는 태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지각된 가치의 품질적, 정서적, 사회적 요인은 행동의도에 영향을 미친다. 하위요인 중 경제적 가치는 태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태도는 행동의도에 영향을 미친다. 둘째, 지각된 가치와 태도의 관계에서 관광지이미지는 조절효과가 나타나지 않았다. 셋째, 지각된 가치와 행동의도의 관계에서 관광지이미지는 조절효과가 나타났다. 이는 해양레저 관광객의 지각된 가치는 태도와 행동의도에 영향을 주는 중요한 요인이며, 재방문과 구전 의도 촉진에서 관광지이미지와 지각된 가치의 상호작용성을 시사한다.
영문 초록
The aims of this study are to examine as to how perceived value of visitors to Jeongok Port could impact on their attitude and behavior intention and to assess as to how effect based on the level of tourism destination image would be represented in its relationship with their perceived value, attitude and behavior intention. This study conducted a survey of 275 visitors to Jeongok Port and used a questionnaire to collect data. SPSS 26 program was utilized to analysis data and Model 1 of PROCESS macro 3.4 version was also utilized to verify technical, reliability, correlation,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nd control effect. The results of this study as follows: First qualitative, emotional and social factors of perceived value had an effect on tourists’attitude. It is interesting to note that economic factor did not have significant impact on their attitude. Tourists’attitude had an impact on their behavior intention. Second, there was little effect on the tourism destination image in relationship with perceived value and attitude. Third, there was an effect on the tourism destination image in relationship with perceived value and behavior intention. In conclusion, the perceived value of marine leisure tourists is an important factor being able to impact on their attitude and behavior intention, which could suggest importance of the interplay between tourism destination image and perceived value in facilitating their revisit and word of mouth intention.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결론 및 논의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예술체육 > 예술일반분야 BEST
- 생성형 AI가 가짜뉴스의 확산에 미치는 영향 연구
- 생성형 AI를 활용한 광고디자인 연구 - 광고디자인 요소에 따른 생성형 AI 영상광고 사례 분석을 중심으로
- 패션 명품 브랜드에서의 마케팅 변화에 따른 메타버스를 활용한 사례 연구
예술체육 > 예술일반분야 NEW
- 한 30대 미혼여성의 소마중심 표현예술치유 경험을 통한 자아정체성 형성에 관한 예술 기반 내러티브 탐구
- 미증유의 사회, 한국교육혁신을 위한 통섭적 접근으로의 인문예술은 왜 필요한가?-인문학을 연극과 무용으로 연결하기
- 미래 학교문화예술교육의 향방에 관한 논고- 무용 교육 매개인력 중심 논의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