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직업계고 학생의 디지털 역량 구명 및 중요도-실행도 차이 분석(IPGA)

이용수  204

영문명
Vocational High School Students’ Digital Competency Identification and Importance-Performance Gap Analysis(IPGA)
발행기관
한국직업교육학회
저자명
최수정 김진모 하재영 김영흥 전지연 정재희
간행물 정보
『직업교육연구』제43권 제2호, 23~49쪽, 전체 27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4.06.30
6,0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 연구의 목적은 직업계고 학생의 디지털 역량을 구명하고 현재 가장 시급히 개선해야 할 역량이 무엇인지를 확인함으로써 직업계고 학생의 디지털 역량을 함양하기 위한 시사점을 도출하는 데 있었다. 이를 위해 문헌고찰 및 델파이 조사를 토대로 직업계고 학생의 디지털 역량을 구명하였고, 설문조사 및 중요도-실행도 차이분석(IPGA)를 실시하여 개선 우선순위가 높은 영역을 도출하였다. 연구의 주요 결론으로는 첫째, 직업계고 학생의 디지털 역량을 직업계고 학생이 졸업 이후 노동시장에 진입하여 다양한 디지털 기술을 활용하여 직무를 수행하기 위해 공통적으로 갖춰야 하는 지식, 기술 및 태도와 사고능력 등을 포함한 역량으로 정의하였다. 둘째, 직업계고 학생의 디지털 역량은 ‘디지털 전환에 따른 변화 이해 및 대응’, ‘디지털 자료 수집 및 관리’, ‘디지털 기반 의사소통 및 협업’, ‘디지털 콘텐츠 개발 및 활용’, ‘디지털 기반 문제해결’의 5가지 대영역과 하위의 11개 중영역이 도출되었다. 셋째, 직업계고 학생의 디지털 역량 중에서 ‘디지털 기술을 통한 의사소통’, ‘디지털 자료 탐색 및 수집’ 2개 역량은 실행도 수준과 중요도 수준이 모두 높은 영역으로 확인되었으나, ‘디지털 콘텐츠 개발’은 실행도 수준 및 중요도 수준이 모두 낮은 영역으로 확인되었다. 넷째, 개선요구가 높은 역량은 ‘디지털 자료 탐색 및 수집’, ‘디지털 기술을 통한 의사소통’, ‘디지털 기술을 통한 공유와 협업’, ‘디지털 콘텐츠 활용’이다. 제언에서는 직업계고 학생의 디지털 역량 함양을 위한 방안을 모색하는 중장기적인 연구가 이루어질 필요가 있으며, 직업계고 학생의 직무 의사소통 능력 등 관련 직업기초능력 제고 등에 중점을 둔 구체적인 정책 방안이 수립되어야 함을 제안하였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out the digital competencies of vocational high school students and to derive implications for increasing the digital competencies of vocational high school students by identifying what competencies currently need to be improved most urgently.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digital competency of vocational high school students was defined as the competency, including knowledge, skills, attitudes, and thinking skills that vocational high school students must have in common to perform their duties using various digital technologies after entering the labor market after graduation. Second, 5 major areas of vocational high school students' digital competencies were derived: 'understanding and responding to changes according to digital transformation', 'digital data collection and management', 'digital-based communication and collaboration’, ‘digital content development and utilization’, and 'digital-based problem solving' and minor 11 areas were derived. Third, ‘communication through digital technology’ and ‘digital data search and collection’ were identified as areas with high level of performance and importance, but ‘digital content development’ was identified as areas with low level of performance and importance. Fourth, competencies with high demand for improvement include ‘digital data search and collection’, ‘communication through digital technology’, ‘sharing and collaboration through digital technology’, and ‘digital content utilization’. In the suggestion, it was suggested that long-term research should be conducted to find ways to increase digital competencies of vocational high school students, and specific policy should be established that focus on improving students' foundational common competency.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및 해석
Ⅴ. 결론 및 제언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최수정,김진모,하재영,김영흥,전지연,정재희. (2024).직업계고 학생의 디지털 역량 구명 및 중요도-실행도 차이 분석(IPGA). 직업교육연구, 43 (2), 23-49

MLA

최수정,김진모,하재영,김영흥,전지연,정재희. "직업계고 학생의 디지털 역량 구명 및 중요도-실행도 차이 분석(IPGA)." 직업교육연구, 43.2(2024): 23-49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