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교육과정 시기 및 학술지별 가정과교육과정 연구의 동향
이용수 298
- 영문명
- Trend of Home Economics Curriculum Research by the Curriculum Period and Journals
- 발행기관
- 한국가정과교육학회
- 저자명
- 권보은 배진희 최경은 송여민 유난숙 백희연
- 간행물 정보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제36권 제2호, 33~50쪽, 전체 18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06.30
4,9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2009, 2015, 2022 개정 가정과 교육과정을 적용한 가정과교육 연구들의 시기 및 학술지별 동향을 살펴보는데 있다. 이를 위해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대한가정학회지, 한국실과교육학회지, 실과교육연구에 게재된 논문 중 가정과 교육과정을 적용한 논문 374편을 선정하여 네트워크 분석을 실시하였다. 첫째, 교육과정 시기별로 연구 동향을 분석하였다. 키워드 빈도 분석 결과, 2009, 2015 개정 교육과정을 적용한 논문들은 주로 교육과정을 분석하여 교과서나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데 중점을 두었으며, 2022 개정 교육과정을 적용한 논문들은 시론적인 내용을 다루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토픽 모델링 결과를 통해 각 시기별로 강조된 학습 주제가 반영된 것을 알 수 있었는데, 2009 개정 교육과정 연구에서는 ‘환경교육’, 2015 개정 교육과정 연구에서는 ‘안전⋅건강 교육’, 2022 개정 교육과정 연구에서는 ‘생태전환’이 주요 토픽으로 도출되었다. 둘째, 학술지별 연구 동향을 분석하였다. 학술지별 키워드 빈도 분석 결과, 각 학술지별 연구 논문의 경향성을 파악할 수 있었다. 학술지별 토픽 모델링 비교 결과,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에서는 2009 개정 교육과정에서 ‘실습 수업에 대한 인식,’ ‘안전 교과서 분석’이, 2015 개정 교육과정에서는 ‘역량 함양을 위한 교수학습과정안’이 주요 토픽으로 도출되었다. 본 연구를 통해 교육과정 개정 시 강조되는 개념이나 목표 등이 가정과교육 연구들에 반영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examined the trends in home economics education research across different curriculum periods and journals. A total of 374 papers related to the 2009, 2015, and 2022 revised curricula were selected and analyzed using network analysis from four journals. First, research trends were analyzed by curriculum period. Keyword frequency analysis revealed that articles on the 2009 and 2015 revised curricula primarily focused on analyzing the curriculum to develop textbooks or programs. In contrast, papers on the 2022 revised curriculum explored broader directions. Topic modeling results highlighted the prominent topics for each period: ‘environmental education’ in the 2009 revised curriculum, ‘safety and health education’ in the 2015 revised curriculum, and ‘ecological transition’ in the 2022 revised curriculum. Second, research trends were analyzed by journal. Keyword frequency analysis by journal exposed specific research tendencies. For example, in the Journal of Home Economics Research, ‘perceptions of practical classes’ and ‘analysis of safety textbooks’ were major topics for the 2009 revised curriculum, while ‘teaching and learning plans for competence development’ dominated research on the 2015 revised curriculum. This study demonstrates that the concepts and goals emphasized in curriculum revisions are reflected in the corresponding research.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V.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그림책 속 할아버지의 의미 분석
- 그림책의 글 텍스트 유무에 따른 4, 5세 유아의 읽기 반응 연구 -Mark Janssen의「Island」작품을 중심으로-
- 대화식 그림책 읽기를 통한 엄마와 만 2세 영아의 상호작용 경험에 대한 질적 연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