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포토보이스를 통해 본 청소년기 형제자매관계에 관한 연구

이용수  264

영문명
A Study on the Adolescent Sibling Relationship through Photovoice
발행기관
한국가정과교육학회
저자명
김지슬 전미경
간행물 정보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제36권 제2호, 15~31쪽, 전체 17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4.06.30
4,8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포토보이스 연구방법론을 활용하여 청소년들은 형제자매관계에서 무엇을 경험하는지 탐색하고, 이를 바탕으로 청소년기 형제자매 간의 상호작용 및 관계 형성이 이들의 성장과 발달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분석하였다. 연구참여자는 형제자매가 1명 있는 인천 지역 고등학생 8명(남학생 4명, 여학생 4명)으로 구성되었으며, 연구 절차는 문헌 연구, 참여자 모집, 오리엔테이션, 포토보이스 활동(FGI), 자료 분석 및 결론 도출의 단계를 포함하였다. 포토보이스 활동에서 연구참여자들은 사진촬영-해석-토의⋅토론의 내러티브 과정을 거치며 자신들의 형제자매관계 경험을 재구성하였다. 이 과정을 통해 연구참여자들은 형제자매와의 관계 속에서 경험하는 다양한 상황과 감정이 개인의 성장 및 발달에 미치는 영향을 깊이 이해하였다. 연구 결과, 청소년기 형제자매관계와 관련된 주요 키워드로는 ‘부모’, ‘출생 순위’, ‘관계’, ‘모델링’, ‘반면교사’, ‘비교’, ‘경쟁’, ‘갈등’, ‘추억공유’, ‘애정’ 등이 도출되었다. 이 키워드들을 바탕으로 한 연구참여자들의 내러티브는 구조와 환경, 정서적 상호작용, 역할, 부모하위체계를 기준으로 4개의 대주제와 16개의 하위 주제로 분류되었다. 이 4개의 대주제를 통해 도출된 결론은 첫째, 청소년기 형제자매관계에서 형성되는 동질성이 심리적 안정감과 건강한 인간관계 형성에 기여한다는 점, 둘째, 형제자매의 출생 순위에 따른 역할과 기대가 청소년에게 스트레스를 주며 가족 내에서 공정하고 민주적인 역할 및 관계 조정이 필요하다는 점, 셋째, 청소년기 형제자매관계에서의 갈등이 문제해결능력, 소속감, 유대감, 사회적 관계 기술 등의 향상에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는 점, 넷째, 부모의 일관된 양육 태도가 형제자매 간의 정서적 안녕에 큰 영향을 미친다는 점이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청소년들이 형제자매관계에서 겪는 다양한 경험이 이들의 성장과 발달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는 가정과교육에서 청소년기 형제자매관계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청소년들의 인간 발달과 가족관계 측면을 심도 있게 이해하는 기회를 제공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employs photovoice research methodology to investigate adolescents’ experiences in sibling relationships and to analyze the impact of sibling interactions on their development and growth. The participants comprised eight high school students with one sibling (four males and four females) residing in the Incheon region. The research process encompassed several stages: participant recruitment, orientation, photovoice activity (focus group interviews), data analysis, and conclusion derivation. During the photovoice activity, participants engaged in a narrative process of photographing, interpreting, and discussing their experiences. The narratives were categorized into four primary themes: structure and environment, emotional interactions, roles, and parental subsystems. The conclusions drawn from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similarity formed in sibling relationships during adolescence contributes to psychological stability. Second, roles and expectations based on birth order can cause stress for adolescents, indicating the need for equitable role adjustments within the family. Third, conflict in sibling relationships is crucial for enhancing problem-solving and social relationship skills. Lastly, consistent parenting attitudes significantly affect the emotional well-being of siblings. This study emphasizes the significance of fostering a deeper understanding of human development and family relationships through an exploration of adolescent sibling dynamics within home economics education.

목차

Ⅰ. 서론
Ⅱ. 선행연구 고찰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결론 및 논의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지슬,전미경. (2024).포토보이스를 통해 본 청소년기 형제자매관계에 관한 연구.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36 (2), 15-31

MLA

김지슬,전미경. "포토보이스를 통해 본 청소년기 형제자매관계에 관한 연구."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36.2(2024): 15-31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