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발달장애인의 사회적 농업 분야 표준사업장에서의 취업 초기 경험에 대한 질적연구
이용수 152
- 영문명
- A qualitative study of the early employment experiences of peopl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in a subsidiary-type standard workplace in agriculture
- 발행기관
- 한국장애인복지학회
- 저자명
- 이지선 한기명
- 간행물 정보
- 『한국장애인복지학』제64호, 251~277쪽, 전체 27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06.30
6,0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국내 유일의 컨소시엄형 표준사업장에서 최저임금 이상의 급여를 받는 발달장애인 근로자의 취업 초기 경험과 변화 등을 탐색함으로써 장애인 당사자 관점에서의 직무만족, 농업 분야에서의 표준사업장이 갖는 일자리로서의 의미와 가치는 어떠한지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표준사업장에서 일하는 발달장애인 근로자와 가족, 직무지도원과 관리자를 포함한 19명을 대상으로 개별 면담을 진행하였다. 주제분석 결과, 16개의 소주제가 발견되었고, 이를 범주화하여 나타난 핵심 주제는 (1) 각자의 자리에서 최선을 다함, (2) 농업, 나에게 맞는 일, (3) 긍정적 변화가 나타남, (4) 보통의 삶을 살아감으로 도출되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업종이 제한적인 표준사업장의 농업 분야 확대 필요성과 발달장애인의 일자리로서의 사회적 가치 등 정책적·실천적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explored the early work experiences of peopl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who are paid above the minimum wage through in-depth individual interviews with 19 participants, including worker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their families, and non-disabled workers, who had been working at a subsidiary-type standard workplace for the disabled in the agricultural sector for six months. Four key themes and 16 sub-themes emerged from the thematic analysis of the workers' experiences: (1) ‘doing the best they can in their positions’, (2) ‘farming, a job that suits me’, (3) ‘seeing positive changes’, and (4) ‘living a normal life’. Based on these findings, policy and practical improvements were suggested.
목차
1. 서론
2. 이론적 배경
3. 연구 방법
4. 연구 결과
5. 결론 및 논의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발달장애 자녀를 둔 어머니의 소진에 관한 연구
- 장애인정책에서의 보건·복지 협력에 대한 신제도주의 분석
- 성인 발달장애인 주간활동서비스와 활동지원서비스가 부모의 돌봄 시간 및 돌봄 부담에 미친 영향
- 국외 발달장애 가족의 정신건강 증진 프로그램 연구동향 및 중재요소 고찰: 우울감을 중심으로
- 발달장애인의 사회적 농업 분야 표준사업장에서의 취업 초기 경험에 대한 질적연구
- 중증장애인의 ‘의존-자립-상호의존’ 경험에 관한 연구
- 장애인 거주시설의 물리적 환경과 발달장애인의 도전행동
- 병식 개념에 대한 정신장애인 인식 및 경험의 탐색적 연구 : 자기결정권 및 인식적 부정의를 중심으로
- 발달장애인 리더십 개발과정과 경험에 관한 내러티브 탐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분야 BEST
- 사회복지의 법적 실천에 관한 탐색적 연구
- 코로나19로 인한 일상생활의 변화가 코로나블루에 미치는 영향
- 한국과 미국의 사회복지 윤리강령 비교연구 : 비밀보장, 이중관계, 문화적 다양성, 결함이 있는 동료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분야 NEW
- 한국케어매니지먼트 연구 제55호 목차
- 노인의 자원봉사활동동기 및 가족건강성이 긍정노후인식에 미치는 영향 : 욕구충족도의 조절된 매개효과
- 만성질환 노인의 돌봄 수혜경험 : 요양보호사 돌봄서비스 이용자를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