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북한이탈주민 일자리 창출과 복지향상을 위한 정책 제안: 포항시를 중심으로
이용수 379
- 영문명
- Policy Proposals for Job Creation and Welfare Improvement for North Korean Defectors: Focusing on Pohang City
- 발행기관
- 한국군사회복지학회
- 저자명
- 이강문
- 간행물 정보
- 『한국군사회복지학』제17권 제1호, 5~31쪽, 전체 27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06.30
6,0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북한이탈주민이 포항시에서 일자리 창출을 통한 경제적 자립과 사회복지정책의 제도권 안에서의 안정된 생활을 통해 진정한 지역 사회 일원으로 행복한 삶을 추구하는데 도움을 주고자 한다. 이를 뒷받침 할 수 있는 경제적 지원 방안과 사회참여 제고를 위한 맞춤형 정책 발굴을 통해 북한이탈주민에 대한 지원내용과 방법 등에 보다 효과적이고 체계적인 실행에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문헌조사와 FGI 분석, 포항시 거주 북한이탈주민 대상 설문조사 등을 통해 연구를 진행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북한이탈주민의 경제적 자립을 위한 지원 방향 설정을 통해 정서적 지원, 일자리 지원, 제도적 지원을 단계적으로 실시하여야 한다. 둘째, 북한이탈주민의 자립 정착지원 및 복지정책의 우선순위를 초기, 중기, 장기 정착 시기로 구분한다. 셋째, 정책적 지원과제로는 정서적 지원정책을 통해 심리상담 서비스 제공, 정서적 힐링 체험 프로그램 실시, 북한이탈주민의 이해 및 인식개선 도모, 멘토 제도를 실시한다. 맞춤형 일자리 지원정책으로는 소그룹별 희망 자격증 취득을 위한 맞춤형 취업 교육을 실시하며, 취업 정보의 데이터화와 플랫폼 구축, 전담 직업상담사 제도를 구축한다. 제도적 지원으로는 북한이탈주민 전담 공무원을 지정하고 새로운 민간 전담 기구 신설, 북한이탈주민 회관 설립과 지역 협의회를 구성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s to help North Korean defectors in Pohang city pursue a happy life as true members of the local community by achieving economic self-reliance through job creation and stable living within the institutional framework of social welfare polici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basic data for more effective and systematic implementation of support contents and methods for North Korean defectors through the discovery of economic support measures to support this and customized policies to enhance social participation. The following conclusions were obtained by conducting research through literature research and FGI analysis, surveys for North Korean defectors residing in Pohang City, and interviews with officials. First, emotional support, job support, and institutional support should be implemented step by step by setting the direction of support for economic independence of North Korean defectors. Second, the priorities of North Korean defectors' self-reliance settlement support and welfare policies are divided into early, medium, and long-term settlement periods. Third, policy tasks include providing psychological counseling services, implementing emotional healing experience programs, improving understanding and awareness of North Korean defectors, and implementing a mentor system through emotional support policies. As a customized job support policy, customized employment education is provided to obtain desired certificates for each small group, and job information is converted into data, platform construction, and a dedicated job counselor system is established. As for institutional support, a government official dedicated to North Korean defectors is designated, a new private organization is established, a North Korean refugee center is established, and a regional council is formed.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V. 결론 및 논의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직업군인의 성장기 가정폭력노출경험과 배우자폭력 가해의 관계에서 문제음주의 매개효과
- 북한이탈주민 일자리 창출과 복지향상을 위한 정책 제안: 포항시를 중심으로
- 군대 급식환경 실태분석과 개선방안 연구
- 병사의 군기교육대 입소 경험에 관한 현상학적 탐구
- 군대 내 성 소수자의 군 생활 적응을 위한 위험요인과 보호요인 연구
- 현역 복무 부적합 병사의 병역판정 결과 분석을 통한 병력관리 방안 연구: 육군 사단급 사례 중심으로
- 병영 상담에서 풍경구성기법(LMT)의 효용성에 관한 연구
- 동계입영훈련을 통한 학군사관후보생의 가치변화, 복지 및 체력변화 경험의 내러티브 탐색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분야 BEST
- 사회복지의 법적 실천에 관한 탐색적 연구
- 코로나19로 인한 일상생활의 변화가 코로나블루에 미치는 영향
- 한국과 미국의 사회복지 윤리강령 비교연구 : 비밀보장, 이중관계, 문화적 다양성, 결함이 있는 동료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분야 NEW
- 사회복지상담과 불교철학의 융합 가능성 :이론·실천의 통합을 위한 개입 모형 제안
- 사회복지사의 소명의식이 조직시민행동에 미치는 영향에서 조직지원인식의 조절효과
- 정신장애인을 위한 정신건강 증진접근의 개념화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