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청소년이 지각한 가정폭력이 정서문제에 미치는 영향

이용수  50

영문명
The Effects of the Adolescent's Perceptions on Domestic Violence on Emotional Problems
발행기관
21세기사회복지학회
저자명
박민경 김연옥
간행물 정보
『21세기사회복지연구』제19권 제2호, 25~48쪽, 전체 24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2.12.31
5,6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청소년이 지각한 가정폭력이 청소년의 정서 문제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한국 아동·청소년 패널조사(KCYPS 2016)에서 응답한 1,979명을 대상으로 하여 SPSS V.22.0으로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가정폭력에서 방임은 정적(+) 영향을 미치고, 학대는 정적(+) 영향을, 우울, 공격성에서 방임, 학대는 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사회적 위축에서는 방임은 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학대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청소년의 일반적 특성은 남자가 여자보다 정서 문제가 낮은 것으로 나타났고, 경제 수준은 정서문제에 부적인 영향을 미치고, 우울, 공격성, 사회적 위축 순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교성적은 정서 문제에 부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 of domestic violence perceived by adolescents on emotional problems of adolescents. This study was conducted with 1,979 people using data from the 7th(2016) first panel of the Korean Children and Youth Panel Survey(KCYPS). First, neglect has a positive (+) effect in domestic violence, abuse has a positive (+) effect, depression, neglect in aggression, abuse has a positive effect, neglect has a positive effect in social withdrawal, and abuse has no effect. Second,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adolescents were found that men had lower emotional problems than women, and the economic level had a negative effect on emotional problems, followed by depression, aggression, and social withdrawal. Satisfaction with school grades were found to have a negative effect on emotional problems. The implications were described based on these research results.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결론
참고 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박민경,김연옥. (2022).청소년이 지각한 가정폭력이 정서문제에 미치는 영향. 21세기사회복지연구, 19 (2), 25-48

MLA

박민경,김연옥. "청소년이 지각한 가정폭력이 정서문제에 미치는 영향." 21세기사회복지연구, 19.2(2022): 25-48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