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우울을 경험한 중년여성의 모래상자치료 개성화과정 연구

이용수  15

영문명
A study on the individualization process of sandtray therapy in middle-aged women who experienced depression
발행기관
휴먼서비스행복연구소
저자명
이은경
간행물 정보
『휴먼서비스문화연구』제4권, 12~40쪽, 전체 29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심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2.12.31
6,2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우울을 경험한 중년여성에게 모래상자치료를 적용한 단일사례연구이다 본 연구 참여자는 모래상자치료를 통하여 외부로 향하였던 에너지를 전환하고 내적 자아에 초점을 맞추어서 전체성을 회복하는 개성화과정을 연구한 사례이다 본 연구대상은 G시에 거주하는 50대로 두 자녀를 둔 중년 여성이다. 본 참여자는 중년기에 접어들면서 내면의 우울과 불안을 경험하고 있으며 내적인 갈등이 신체적 증상으로 드러나고 있어 그러한 어려움을 극복하고 내적통합을 이루어 건강한 삶을 영위하고자 하는 목적으로 상담을 의뢰하게 되었다. 2020년 11월 연구대상과의 사전면담을 통해 정보수집 후 상담을 시작하여 2021년 3월까지 매주 1회 60분씩 모래상자치료를 진행하였다. 연구대상의 모래상자치료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서 Beck의 우울 불안 검사와 SCT문장완성검사, MMPI-2를 사전 사후 검사하여 우울과 불안의 정도를 비교하였다 또한 모래상자치료 과정의 회기별 단계에 나타난 변화를 통해 내담자의 개성화 과정을 질적 분석하였다 본 연구결과를 정리하면 모래상자치료는 자신에 대한 올바른 인식과 자신과의 소통을 통해 상처가 치유될 수 있으며 자신의 진정한 모습을 찾게 되어 자기실현을 이룰 수 있다 이러한 개성화 과정은 자신과 타인을 잘 돌볼 수 있는 건강하게 살아갈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에 본 연구를 토대로 모래상자치료의 기초적인 임상자료로 제공되기를 바라며 모래상자치료에 대한 다양한 연구사례가 진행되기를 기대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is a single case study applying sandbox therapy to a middle-aged woman who experienced depression. This study is a case study of the process of individuation in which the participants in this study convert the energy that was directed to the outside through sandtray therapy and restore the wholeness by focusing on the inner self. The subject of this study is a middle-aged woman with two children in her 50s who lives in G city. As this participant entered middle age, she experienced inner depression and anxiety, and internal conflicts were revealed as physical symptoms. Therefore, she requested counseling for the purpose of overcoming such difficulties and achieving internal integration to lead a healthy life. In November 2020, counseling began after collecting information through a preliminary interview with the research subjects, and sandtray therapy was conducted once a week for 60 minutes until March 2021. To find out the effect of sandtray therapy on the study subjects, Beck's depression and anxiety test, SCT sentence completion test, and MMPI-2 were tested before and after, and the levels of depression and anxiety were compared. In addition, the process of individuation of the client was qualitatively analyzed through the changes in each session stage of the sandtray therapy process. To summarize the results of this study, sandtray therapy can heal wounds through correct self-awareness and communication with oneself, and self-realization can be achieved by finding one's true self. This process of individuation led to a healthy life in which one could take good care of oneself and others. Therefore, based on this study, it is hoped that it will be provided as basic clinical data for sandbox therapy, and various research cases on sandtray therapy will be conducted.

목차

I. 서 론
II. 이론적 배경
III. 연구 방법
IV. 연구 결과
V.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은경. (2022).우울을 경험한 중년여성의 모래상자치료 개성화과정 연구. 휴먼서비스문화연구, (), 12-40

MLA

이은경. "우울을 경험한 중년여성의 모래상자치료 개성화과정 연구." 휴먼서비스문화연구, (2022): 12-40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