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월정사 단기출가 프로그램 참여 연구 : 일반인을 중심으로
이용수 11
- 영문명
- A Study on Participation in Woljeongsa Short-term Entering the Buddhist Priesthood Program : Focused on Ordinary People
- 발행기관
- 한국명상심리상담학회
- 저자명
- 손강숙 조재성 정소미
- 간행물 정보
- 『명상심리상담(구 명상치료연구)』제26권, 29~43쪽, 전체 15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심리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1.12.31
4,6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중년기 위기를 경험하고 내·외적 변화에 처한 사람들의 단기출가 경험에 대해 탐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중년의 단기출가의 동기는 무엇인가?, 둘째, 중년의 단기출가경험을 통한 변화 요인은 무엇인가?, 셋째, 단기출가를 통한 변화경험을 현재 일상생활에서 어떻게 활용하고 있는가?였다. 이를 위하여 단기출가 경험이 있는 40대~60대 중년 12명을 대상으로 반구조화된 인터뷰를 실시하고 합의에 의한 질적 분석의 방법으로 분석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중년의 단기출가 동기를 살펴본 결과, 인지적인 측면과 정서적인 측면의 2개 영역이 도출되었다. 인지적인 측면 영역에서 ‘나는 누구인가?’라는 실존에 대한 질문, ‘나’라는 사람에 대한 객관적인 인식 2개 범주가 도출되었다. 둘째, 단기출가 경험이 자신을 변화하게 한 요인이 무엇이었는지를 탐색한 결과, 자기를 경험, 진정성을 경험의 2개 영역이 도출되었다. 자기를 경험 영역에서 ‘나’를 만난시간, ‘나’에 대한 반성과 성찰 2개 범주가 도출되었다. 진정성을 경험 영역에서 부처님을 닮고 싶은 마음, 스님을 닮고 싶은 마음, 도반을 닮고 싶은 마음 3개 범주가 도출되었다. 셋째, 단기출가 경험이 현재 일상생활에서 어떻게 활용되고 있는지를 탐색한 결과, 앞으로 삶의 새로운 방향 발견, 사회 환경과의 관계 변화의 2개 영역이 도출되었다. 본 연구를 통해서 도출된 결과는 추후 중년을 대상으로 한 단기출가 프로그램을 구성함에 있어서 고려해야 할 사항들에 대한 기초자료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short-term export experience of people who experienced the middle-aged crisis and faced internal and external changes. For this purpose, semi-structured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12 middle-aged people in their 40s and 60s who had the Short-term Entering the Buddhist Priesthood experience and analyzed by a consensual qualitative analysis method.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motives for the Short-term Entering the Buddhist Priesthood among middle-aged people, two domains, cognitive and emotional, were derived. In the cognitive aspect, two categories were derived: the question of existence, ‘Who am I? and ‘objective awareness of ‘me’. Second,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factors that caused the short-term homework experience to change, two domains were derived: 'experience self and experience authenticity'. In the domain of 'experience self', two categories were derived: the time I met the ‘I’ and the reflection on ‘I’. Third, as a result of exploring how the Short-term Entering the Buddhist Priesthood experiences are currently being used in daily life, two domains were derived: discovery of a new direction of life in the future, and change of relationship with social environment.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be the basic data for the composition of temple stays for middle-aged women.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심리학분야 NEW
- 후천적 시각장애인의 예술심리치료 단일사례연구
- 청소년 주제통각검사(TAT-A) 자기보고식 프로토콜 기반 카드당김효과 분석
- 플레이백 씨어터를 통한 공동체적 대화가 참여자들의 사회적 유대감과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