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웨이트트레이닝의 참여기간과 레크리에이션 전문화의 최적모형
이용수 62
- 영문명
- The Optimal Model of the Relationships between Participation Period and Recreation Specialization in Weight Training Participants
- 발행기관
- 한국여가문화학회
- 저자명
- 정명숙 황선환
- 간행물 정보
- 『여가학연구』제21권 제1호, 93~113쪽, 전체 21쪽
- 주제분류
- 예술체육 > 예술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02.28
5,3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연구는 웨이트트레이닝의 참여기간과 레크리에이션 전문화의 중요성, 중심성, 물리적 열정, 과거경험, 숙련도, 정보, 기술지식의 관계에서 1차 선형 회귀모형, 2차 비선형 회귀모형, 3차 비선형 회귀모형을 적용하여 최적모형을 탐색하는 데 목적이 있다.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자료처리는 SPSS Ver. 27.0과 AMOS Ver. 27.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빈도분석, 기술통계분석, 확인적 요인분석, 신뢰도 분석, 상관분석 및 곡선 추정 분석을 실행하였으며, 다음과 같은 연구결과를 도출하였다. 첫째, 참여기간과 중요성 전문화의 관계는 1차 선형모형이 최적모형으로 나타났다. 둘째, 참여기간과 중심성, 과거경험, 숙련도, 정보 및 기술지식 전문화의 관계는 2차 비선형모형이 최적모형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참여기간과 물리적 열정 전문화는 유의한 인과관계가 나타나지 않았다. 웨이트트레이닝의 참여기간이 증가함에 따라 중요성 전문화는 선형적으로 발전하였으며, 중심성, 과거경험, 숙련도, 정보 및 기술지식의 전문화가 증가하다가 중간지점을 기점으로 전문화가 감소하였다. 이 연구는 다양한 발전양상을 지닌 레크리에이션 전문화 과정을 이해하는데 유용할 것이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optimal model by applying a linear model, a quadratic model, and a cubic model in the relationship between weight training participation period and recreation specialization: importance, centrality, physical passion, experience, skilled, information, and skill-knowledge. The results to achieve the research objectives were derived by performing frequency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al analysis,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and curvilinear estimation analysis using SPSS 27.0 and AMOS 27.0 ver. First, as for the relationship between participation period and importance specialization, a linear model was found to be the optimal model. Second, in the relationships between participation period and centrality, experience, skilled, information, and skill-knowledge specialization, quadratic model were found to be the optimal model. Finally, there was no significant causal relationship between participation period and physical passion specialization. As the participation period in weight training increased, importance specialization developed linearly. The level of specialization in centrality, experience, skilled, information, and skill-knowledge increased to a certain point and then decreased after that point. This study might be useful for understanding the recreation specialization process with various development patterns.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예술체육 > 예술일반분야 BEST
- 생성형 AI가 가짜뉴스의 확산에 미치는 영향 연구
- 생성형 AI를 활용한 광고디자인 연구 - 광고디자인 요소에 따른 생성형 AI 영상광고 사례 분석을 중심으로
- 패션 명품 브랜드에서의 마케팅 변화에 따른 메타버스를 활용한 사례 연구
예술체육 > 예술일반분야 NEW
- 한 30대 미혼여성의 소마중심 표현예술치유 경험을 통한 자아정체성 형성에 관한 예술 기반 내러티브 탐구
- 미증유의 사회, 한국교육혁신을 위한 통섭적 접근으로의 인문예술은 왜 필요한가?-인문학을 연극과 무용으로 연결하기
- 미래 학교문화예술교육의 향방에 관한 논고- 무용 교육 매개인력 중심 논의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