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전기노인과 후기노인 간의 여가생활 특성 비교 분석
이용수 169
- 영문명
- A Comparative Analysis of Leisure Life Characteristics between the Young-old and the Old-old
- 발행기관
- 한국여가문화학회
- 저자명
- 오세숙
- 간행물 정보
- 『여가학연구』제21권 제1호, 59~73쪽, 전체 15쪽
- 주제분류
- 예술체육 > 예술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02.28
4,6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노인을 전기노인(65세~74세)과 후기노인(75세 이상)으로 구분하여 인구사회학적 특성, 여가활동 실태 및 여가생활 특성을 비교 분석하는데 있다. 본 연구는 「2021 국민여가활동조사」를 원시자료로 하여, 전기노인 2,241명, 후기노인 1,490명으로 총 3,731의 65세 이상 노인의 데이터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자료처리는 SPSS 26.0을 사용하였다. 우선 전기노인과 후기노인의 인구사회학적 특성과 여가활동유형, 동반자유형, 여가활동빈도, 그리고 여가공간을 포함한 여가활동 특성에 있어서 분포 차이의 유의도를 검정하기 위해 교차분석을 실시하였다. 그리고 전기노인과 후기노인 간에 여가자원이용, 여가인식, 그리고 행복수준을 포함한 여가생활 특성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기 위해 독립표본 t 검정을 실시하였다. 모든 통계적 유의수준은 .05로 설정하였다. 연구결과, 전기노인과 후기노인의 여가활동 실태에서는 여가공간을 제외한 여가활동유형, 동반자, 여가활동 빈도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전기노인과 후기노인 모두 가장 많이 참여한 여가활동유형은 휴식활동으로 나타났고, 동반자 유형에서는 혼자서, 여가활동 빈도에 있어서는 매일이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전기노인과 후기노인을 대상으로 여가생활 특성인 여가자원이용, 여가인식, 그리고 행복수준에서는 어떤 차이가 있는지 살펴보았고, 그 결과 전기노인과 후기노인 모든 집단에서 여가자원이용, 여가인식 그리고 행복수준에서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and analyze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leisure activity characteristics, and leisure life characteristics by dividing the elderly into the young-old(65-74 years old) and the old-old(75 years old and older). To achieve the purpose, this study used the data of a total of 3,731 elderly aged 65 or older with 2,241 young-old and 1,490 old-old using the 「2021 Korean National Leisure Activities Survey」 as a raw data. SPSS 26.0 was used for the data processing of this study. First of all, the Chi-squared Test was conducted to test the significance of a distribution differences in the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the type of leisure activity, the type of companion, the frequency of leisure activity, and leisure space of two age-separated groups. In addition, the Independent Sample t-test was conducted to find out whether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leisure life characteristics including leisure resource use, leisure awareness, and the level of happiness between the young-old and the old-old. The significance level of the statistics were p<0.05, As a result of the study, first,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leisure activity characteristics of two age-separated groups in the type of leisure activity, the type of companion, and the frequency of leisure activity excluding leisure space. The type of leisure activity that both the young-old and the old-old participated the most was ‘take a rest’ in the type of activity, ‘alone’in the types of companion, and ‘daily’in the frequency of leisure activity. Finally, this study examined the differences in leisure resource use, leisure awareness, and the level of happiness, which are leisure life characteristics, and as a result,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leisure resource use, leisure awareness, and the level of happiness in two-aged separated groups.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III. 연구 결과
IV. 논의 및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예술체육 > 예술일반분야 BEST
- 생성형 AI가 가짜뉴스의 확산에 미치는 영향 연구
- 생성형 AI를 활용한 광고디자인 연구 - 광고디자인 요소에 따른 생성형 AI 영상광고 사례 분석을 중심으로
- 패션 명품 브랜드에서의 마케팅 변화에 따른 메타버스를 활용한 사례 연구
예술체육 > 예술일반분야 NEW
- 한 30대 미혼여성의 소마중심 표현예술치유 경험을 통한 자아정체성 형성에 관한 예술 기반 내러티브 탐구
- 미증유의 사회, 한국교육혁신을 위한 통섭적 접근으로의 인문예술은 왜 필요한가?-인문학을 연극과 무용으로 연결하기
- 미래 학교문화예술교육의 향방에 관한 논고- 무용 교육 매개인력 중심 논의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