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중·장기복무 제대군인 지원 인식 및 요구에 관한 질적 연구
이용수 149
- 영문명
- Perception and Needs on Supporting for Mid-to Long-term Service Veterans
- 발행기관
- 한국농산업교육학회
- 저자명
- 정철영 방재현 임정훈 이영광 이승엽 김동주
- 간행물 정보
- 『농업교육과 인적자원개발』제54권 제2호, 51~81쪽, 전체 31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2.06.30
6,5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연구의 목적은 중·장기복무 제대군인 지원에 관한 인식 및 요구를 분석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공급자로서 5개의 제대군인지원센터, 3개의 보훈관서 내 제대군인 지원 업무 담 당자 총 10명과 수요자로서 중·장기복무 제대군인 6명을 연구 참여자로 하여 면담을 실시 하였다. 공급자 대상 면담은 2021년 7월 23일부터 9월 17일까지 대면 면담으로 진행되었고 수요자 대상 면담은 2021년 11월 2일부터 4일까지 대면 및 비대면 면담으로 진행되었다. 수집된 질적 자료는 나선형 자료분석을 활용하여 분석되었다. 분석 결과는 공급자 대상 면담 결과와 수요자 대상 면담 결과를 구분하여 제시하였고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중·장기복무 제대군인 취·창업 지원이 현역 복무 기간부터 제공되는 것이 필요하고 창업지원을 확대되는 것이 필요함을 주장하였다. 또한, 중·장기복무 제대군인 특화 일자리 확대, 중·장기복무 제 대군인 대상 생활안정지원 확대, 제대군인 지원에 대한 사회적 인식 함양, 제대군인 지원을 위한 온라인 플랫폼 확대 개편이 필요함을 주장하였다. 이러한 연구 결론을 바탕으로 향후 연구를 위한 제언을 제시하였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perception and needs on supporting for Mid-to Long-term Service Veterans. To achieve this purpose,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a total of 10 people in charge of supporting veterans in 5 veterans support centers as suppliers, and 6 veterans as consumers. interviews for suppliers were conducted through face-to-face interviews from July 23 to September 17, 2021, and interviews for consumers were conducted through face-to-face and non-face-to-face interviews from November 2 to 4, 2021. The collected qualitative data were analyzed using spiral data analysis. The analysis results were presented separately from the interview results for suppliers and interviews for consumers, and based on the research results, it was argued that employment and start-up support for mid-to long-term service veterans should be provided from the active service period and expanded. In addition, it was argued that it was necessary to expand jobs specializing in mid-to long-term service veterans, expand life stability support for mid-to long-term service veterans, foster social awareness of support for veterans, and expand and reorganize online platforms. Based on these research conclusions,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were presented.
목차
I. 서론
II. 이론적 배경
III. 연구 방법
IV. 연구 결과
V.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간호대학생에게 적용한 시나리오 기반 건강사정 실습 교육의 효과
- 장애인활동지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일의 의미가 조용한 사직에 미치는 영향
- 대학 합창 수업 맥락에서 SEL 평가도구의 적용 가능성 탐색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