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구직준비도에 기초한 구직단념청년의 유형화 및 주요 특성

이용수  211

영문명
A Study on Job Preparation Types and Characteristics of Young Discouraged Workers
발행기관
한국농산업교육학회
저자명
정진철 양인준 김민희 구장회 이선우 고재성 김태환
간행물 정보
『농업교육과 인적자원개발』제54권 제2호, 23~50쪽, 전체 28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2.06.30
6,1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 연구는 구직단념청년의 구직준비도를 바탕으로 유형을 도출하고,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유형별 차이를 도출하는 것을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총 805명의 구직단념청 년을 대상으로 계층적 군집분석과 k-means 군집분석을 시행하였으며, 유형별 차이분석을 위해 카이스퀘어 검증과 분산분석(ANOVA) 방식을 적용하였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 째, 구직단념청년은 구직준비도에 따라 총 4개의 유형(구직준비 부족형, 구직준비 완료형, 실 전역량 부족형, 심리적응 부족형)으로 분류되었다. 둘째,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구직준비 도 유형별 차이 분석 결과 학력수준이 높은 구직단념청년은 상대적으로 구직준비도가 높은 유형에 분류된 반면, 학력수준이 낮은 구직단념청년은 구직준비도가 낮은 유형에 분류되었다. 이와 같은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은 제언을 제시하였다. 첫째, 구직단념자의 구직준 비도 유형에 따른 차별적인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하다. 둘째, 구직단념청년의 구직준비도 유 형별 구직 및 취업과 관련된 심리적 변인 수준의 차이분석 연구가 시행되어야 한다. 셋째, 구직단념청년을 대상으로 운영 중인 정책과 유사집단을 대상으로 운영 중인 정책과의 연계를 강화하여 프로그램 효과성 강화 및 구직단념청년의 체계적인 관리가 이루어져야 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ed to cluster types based on the job preparation level of young discouraged workers and derive differences of types according to demographic characteristics. To this end, hierarchical cluster analysis and k-means cluster analysis were performed on 805 young discouraged workers, and the chi-square test and Analysis of Variance(ANOVA) test were applied to analyze differences by type. The analysis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young discouraged workers were classified into four cluster types (type of insufficient job preparation, type of insufficient hands-on competency, type of insufficient psychological adaptation, and type of job preparation completion) according to job preparation level. Secon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difference in job preparation by type according to demographic characteristics, young discouraged workers with higher educational backgrounds were classified as the type with relatively high job preparation level. while young discouraged workers with low educational backgrounds were classified as the types with low job preparation level. Based on these analysis results, the following suggestions were presented. First, it is necessary to develop a differentiated program according to the job preparation types of young discouraged workers. Second, a study on the difference in the level of psychological variables related to job search and employment by job preparation types of young discouraged workers should be conducted. Third, it is necessary to strengthen the linkage between policies for young discouraged workers, and policies for similar groups to enhance the effectiveness and systematic management of the program.

목차

I. 서론
II. 이론적 배경
III. 연구방법
IV. 연구결과
V.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정진철,양인준,김민희,구장회,이선우,고재성,김태환 . (2022).구직준비도에 기초한 구직단념청년의 유형화 및 주요 특성. 농업교육과 인적자원개발, 54 (2), 23-50

MLA

정진철,양인준,김민희,구장회,이선우,고재성,김태환 . "구직준비도에 기초한 구직단념청년의 유형화 및 주요 특성." 농업교육과 인적자원개발, 54.2(2022): 23-50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