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2015 개정 과학과 교육과정 기반 초·중학생의 달의 환경, 위상 개념에 대한 학습발달과정 개발과 이해 수준의 유형화
이용수 16
- 영문명
- A Development of Learning Progressions on the Concept of Lunar Environment and Moon Phase of Elementary and Secondary Students and Typification of Understanding Level Applying the 2015 Revised National Science Curriculum
- 발행기관
- 한국교원대학교 뇌·AI기반교육연구소
- 저자명
- 권유지(Yoo-Ji Kwon) 이효녕(Hyonyong Lee)
- 간행물 정보
- 『Brain, Digital, & Learning』제12권 제2호, 343~365쪽, 전체 23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2.06.30
5,5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The purposes of this study are to develop learning progressions for the concept of the environment, and phase of the moon for elementary and secondary students based on the achievement standards and assessment standards of the 2015 revised science and education curriculum, and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the learning progressions to ensure that it is suitable for the level of understanding of elementary and secondary students. The learning progressions were elaborated to determine the learning progressions for a total of 2,007 students, 961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d 1,046 middle school students. The research process consisted of the following four stages: Development, and Assessment, Analysis, Amendment stage. Through the sequential and iterative process, the learning progressions were elaborated. In the Development stage, a framework for a hypothetical learning progressions were constructed by analyzing the achievement standards, assessment standards of the 2015 revised national science curriculum, and previous studies. In the Assessment stage, assessment questions including ordered multiple-choice items, optional and narrative questions that can confirm students' level of understanding were developed. Rubric was presented to assist in scoring questions with various responses. In the Analysis stage, data was collected and analyzed by putting assessment into elementary and secondary students. By analyzing the grade-level item response results and the Rasch model's Wright map, the items in the assessment questionnaire were checked and verified to reflect the students' level of understanding. In the Amendment stage, the learning progressions were corrected and supplemented by checking the MNSQ and Infit values, Outfit values, Ability values.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developed learning progressions, the learning progressions on the concepts of the environment, and phase of the moon reflected the 2015 revised national science curriculum and was completed through expert group seminars. The learning progressions developed through this study suggested how the level of understanding of students' concepts changed, and reflected the students' understanding. In addition, it was confirmed that the order and content system for the concepts of the shape, environment, and phase of the moon presented in the 2015 revised national science curriculum were constructed to reflect students' level of understanding. It is possible to use the assessment items in order to grasp the level of students' understanding and it will provide many implications for the integration of the curriculum-learning-assessment and the restructuring of the 2022 revised science and curriculum.
목차
Introduction
Methods
Results
Discussions and Conclusions
Acknowledgement
References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귀납적 탐구 과제와 연역적 탐구 과제 수행에서 나타난 뇌 활성 차이 분석
- 중학생의 인지 양식에 따른 과학 수업에서 제작한 인포그래픽 유형과 인포그래픽 활용 과학 수업에 대한 인식
- 미술 교과에서 인공지능 활용을 위한 체제적 수업설계
- 디지털 글쓰기에 대한 중학생의 쓰기 수행 인식 양상 연구
- 특수교육 기본교육과정 디지털 교과서 개발 방향에 대한 특수교사 인식 및 디지털 교과서 모형 개발 연구
- 학습목적 읽기에서 독자의 질문 생성과 읽기 자원 참조 양상 연구: 시선추적장치를 활용하여
- 2015 개정 과학과 교육과정 기반 초·중학생의 달의 환경, 위상 개념에 대한 학습발달과정 개발과 이해 수준의 유형화
- 과학 영재원 재학생의 과학적 추론 능력에 대한 연구
- ‘구성된 감정 이론’에 기반한 감정 어휘의 교육 방안
- 디지털 전환 시대를 위한 디지털 교과서 기반 미래형 과학 교수·학습 모델의 개발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고등학교 영어 교과서와 ChatGPT 생성 텍스트의 어휘 및 구문 특성 비교: 코퍼스 기반 분석
- Coh-Metrix를 활용한 한국·일본·중국인 EFL 학습자의 영어 에세이에 나타난 언어적 특성 비교 분석
- 디지털 도구 패들렛(Padlet) 기반 영어 자유 글쓰기: 쓰기 불안감 극복과 학습 성과 향상을 위한 전략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