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디지털 전환 시대를 위한 디지털 교과서 기반 미래형 과학 교수·학습 모델의 개발
이용수 222
- 영문명
- Development of A Future-oriented Teaching and Learning Model Based on Digital Textbook in Science Class for the Digital Transformation Era
- 발행기관
- 한국교원대학교 뇌·AI기반교육연구소
- 저자명
- 변정호(Jung-Ho Byeon) 권용주(Yong-Ju Kwon) 윤종현(Jong Hyeun Yun) 박현주(HyunJu Park) 박경희(Gyeong-Hui Park) 김태희
- 간행물 정보
- 『Brain, Digital, & Learning』제12권 제2호, 307~322쪽, 전체 16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2.06.30
4,7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Digital textbooks have various advantages in science learning for the era of digital transformation based on functions such as virtual labs, high-definition images, and interactive contents. However, the current science class is administering without a learning model suitable for the era of digital transformation.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suggest a science learning strategy using digital textbooks in preparation for the digital transformation era. In this study, we developed a science teaching and learning model for the digital transformation era using digital textbooks. As a result, it was possible to provide a learning model based on a problem-solving process using digital textbooks and a learning strategy using digital functions in science class. The model consists of three steps in the teaching and learning process : Advanturing, Projecting, and Prosuming (APP). In addition, the APP model uses digital textbooks that include teaching and learning strategies of thinking and social interaction in creative problem solving. Therefore, the development of the APP model with appropriate digital functions and learning strategies could be applied to develop and evaluate digital textbooks and learning process suitable for the digital transformation era.
목차
Introduction
Theoretical Background
Research Method
Result & Discussion
Conclusions and Educational Implications
References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귀납적 탐구 과제와 연역적 탐구 과제 수행에서 나타난 뇌 활성 차이 분석
- 중학생의 인지 양식에 따른 과학 수업에서 제작한 인포그래픽 유형과 인포그래픽 활용 과학 수업에 대한 인식
- 미술 교과에서 인공지능 활용을 위한 체제적 수업설계
- 디지털 글쓰기에 대한 중학생의 쓰기 수행 인식 양상 연구
- 특수교육 기본교육과정 디지털 교과서 개발 방향에 대한 특수교사 인식 및 디지털 교과서 모형 개발 연구
- 학습목적 읽기에서 독자의 질문 생성과 읽기 자원 참조 양상 연구: 시선추적장치를 활용하여
- 2015 개정 과학과 교육과정 기반 초·중학생의 달의 환경, 위상 개념에 대한 학습발달과정 개발과 이해 수준의 유형화
- 과학 영재원 재학생의 과학적 추론 능력에 대한 연구
- ‘구성된 감정 이론’에 기반한 감정 어휘의 교육 방안
- 디지털 전환 시대를 위한 디지털 교과서 기반 미래형 과학 교수·학습 모델의 개발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고등학교 영어 교과서와 ChatGPT 생성 텍스트의 어휘 및 구문 특성 비교: 코퍼스 기반 분석
- Coh-Metrix를 활용한 한국·일본·중국인 EFL 학습자의 영어 에세이에 나타난 언어적 특성 비교 분석
- 디지털 도구 패들렛(Padlet) 기반 영어 자유 글쓰기: 쓰기 불안감 극복과 학습 성과 향상을 위한 전략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