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부모-자녀 놀이치료를 통한 어머니-자녀 상호작용 증진과 자녀의 행동문제 감소에 관한 연구
이용수 25
- 영문명
- The effects of a program utilizing filial play therapy to improve mother-child interaction and decrease behavior problems of children
- 발행기관
- 한국아동심리재활학회
- 저자명
- 간행물 정보
- 『놀이치료연구』놀이치료연구 제10권 제1호, 49~66쪽, 전체 18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심리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6.06.30
4,9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어머니의 산후 우울증으로 바람직하지 않은 모-자관계와 행동문제를 가진 유아와 그의 어머니 2쌍을 대상으로 아동중심 놀이치료에 기초한 부모-자녀 놀이치료 프로그램을 실시하여 그 효과를 검증한 임상연구 보고서이다. 부모-자녀 놀이치료 프로그램은 10주 동안 매주 1회, 120~150분간 놀이치료사가 실시하였으며, 프로그램 사전/사후에 가정의 일상생활을 녹화한 자료와 어머니가 응답한 질문지를 분석하여 프로그램의 효과를 알아보았다. 연구결과 첫째, 부모-자녀 놀이치료 프로그램을 통하여 어머니의 자녀에 대한 상호작용 전략이 긍정적으로 변하고 상호작용의 단위 빈도와 모-자간에 질적인 상호작용 평정 점수는 증가하였다. 둘째, 어머니가 인식하는 유아의 행동문제의 점수는 감소되었다. 본 부모-자녀 놀이치료 프로그램은 유아의 현재 행동문제를 유아의 개인 내적인 측면에 원인을 두기보다는 일차 양육자인 어머니와 유아의 초기 양육에서의 부적절하고 소원했던 상호작용에 초점을 두어 어머니의 자녀에 대한 상호작용을 개선함으로 유아의 행동 문제를 감소시키는데 적절한 프로그램이라 할 수 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was a clinical test report that the effectiveness of it was proven by conducting filial play therapy program based children-centered play therapy to two pairs of young children and mother with young children having behavior problems and they having inappropriate mother-children relationship caused by mother's postpartum depression. Filial play therapy program was conducted by play therapist for 120-150minutes once a week for the period of 10 weeks, and the effectiveness was assessed by comparing home video-recorded materials and questionnaires answered by mothers that were recorded and answered before and after the program. First, as the result of the study, mother's interaction strategy toward the children turned positive, and interaction assessment points increased qualitatively together with interaction unit frequency through filial play therapy program. Second, mother-recognized child's behavior problems points decreased. This filial play therapy program is more effective in reducing child's behavior problems by focusing on inappropriate and distant interaction in initial stage of nurturing between the mother who is the primary nurturer and the child than by focusing in child's personal internal aspects.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제언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심리학분야 NEW
- 구원자 각본을 가진 20대 여성의 전화상담 사례연구: 교류분석(TA)상담기법을 중심으로
- 요양보호사의 감정노동이 서비스질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회복탄력성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암환자의 죽음 불안 경험에 대한 내러티브 탐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