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또래 간 성폭력 경험 여아의 모래놀이치료사례
이용수 19
- 영문명
- The case study of sand play therapy of a girl who suffering sexual violence with peer
- 발행기관
- 한국아동심리재활학회
- 저자명
- 간행물 정보
- 『놀이치료연구』놀이치료연구 제10권 제1호, 15~34쪽, 전체 20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심리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6.06.30
5,2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또래 간 성폭력 경험과 도벽 및 가출 문제 때문에 아동 보호시설에 입소된 초등학교 3년 여아의 모래놀이치료사례이다. 일반적으로 아동에 대한 성폭력은 성인이 성적인 방식으로 아동을 이용하지만, 본 사례는 유아기 때의 성추행 경험 이외에 또래 및 또래의 강요에 의한 친오빠와의 성적관계를 경험하였다. 아동 보호 시설에 약 4개월 동안 입소해서 다양한 사회교육 프로그램이 있었으나 10회기의 모래놀이치료가 중점적으로 실시되었고, 사례아동의 모래놀이 작품에 관한 해석과 치료자의 역할에 대해 논의하였다. 본 사례에서 연구자는 언어를 통하지 않고도‘보호된 장면에서의 상징체험’을 할 수 있도록 해석이나 언어적 표현을 하지 않고 아동의 내적 체험을 모래상자를 통해 표현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데 중점을 두었다. 아동에게는 모래놀이치료가 자연스러운 놀이처럼 모래를 만지고 소품을 놓음으로서 자신의 마음의 상처와 곤란 등을 충분히 비언어적으로 표현할 수 있는 좋은 의사소통의 장이 되었으며 이를 통해 신뢰감의 재확립, 이해받고 있다는 느낌, 모래상자 작품을 만들면서 이야기를 풀어내는 경험을 통해 아동은 자존감이 회복되고 퇴소 이후, 도벽과 가출, 성적인 문제는 나타나지 않았다.
영문 초록
This study is the sand play therapy case of a girl in her third year of elementary school who has the experience of sexual violence by peer, running away from home, and stealing. Generally, the sexual violence of children means that children are sexually violence by adults. But the girl of this case had the experience of sexual harassment during infancy and sexual intercourse with peer, and her blood elder brother recently. She also has problem of stealing with her friends. She had 10 sessions of sand play therapy during her stay at Seoul City Dongbu Child Guidance Center from Oct. 2004 to Feb. 2005. Sand play therapy helps the clients to express their inner experiences in the sand tray without verbalization and interpretation because it is the therapeutic process through symbolic experience in the 'protected scene' without verbalization. It can be a good field of communication for the children lacking communication ability through verbalization. It helps the clients express their traumas and difficulties well without verbalization by touching sands and putting the miniatures in the sand tray in a natural way. This is sand play therapy case of a girl who overcoming her problematic behaviors, traumas and little power of concentration and gradually becomes stable despite a short duration of therapy.
목차
Ⅰ. 서론
Ⅱ. 사례개요
Ⅲ. 모래놀이치료 진행과정
Ⅳ. 논의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심리학분야 NEW
- 구원자 각본을 가진 20대 여성의 전화상담 사례연구: 교류분석(TA)상담기법을 중심으로
- 요양보호사의 감정노동이 서비스질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회복탄력성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암환자의 죽음 불안 경험에 대한 내러티브 탐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