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유아교사의 놀이치료 경험에 관한 질적연구

이용수  12

영문명
Qualitative research for the early childhood teacher's experience of play therapy
발행기관
한국아동심리재활학회
저자명
간행물 정보
『놀이치료연구』놀이치료연구 제14권 제2호, 97~118쪽, 전체 22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심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0.08.31
5,4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유아교사의 놀이치료 경험과 그 경험의 의미를 질적으로 분석하고 해석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 참여자는 병설유치원에 근무하는 두 유아교사로 그들의 대학원 입학 전부터 졸업이후 현재까지(놀이치료 경험 전, 놀이치료Ⅰ, 공백기, 인터넷 강좌, 놀이치료Ⅱ, 인턴쉽, 현재) 모두 일곱 단계로 나누어 연구되었다. 연구절차는 질적연구의 순환적 연구과정을 토대로 참여관찰, 심층면담, 연구일지, 연구자 일기, 기타 면담 및 협의, 문서 자료를 수집과 동시에 분석 및 해석을 동시에 실시하였다. 그 결과 첫째, 놀이치료를 경험한 두 교사는 놀이치료 이론이 실제가 되어 자신의 삶과 유아교육현장에서 실천적 지식으로 자리매김 되어가는 다양한 경험을 하게 되었고, 놀이치료 경험 전보다 놀이치료 경험 후 인격적으로 더욱 성숙해 졌다. 둘째, 두 교사의 놀이치료 경험의 의미는 개인사적인 의미와 유아교사로서의 의미로 분석과 해석되었다. 두 교사는 놀이치료를 반성적 사고와 실천적 지식 형성을 통해 유아교육현장에서 활용하며, 현재 진심어린 교사로 살아가게 되었다. 두 유아교사의 놀이치료 경험과 그 경험의 의미를 탐색한 본 연구가 놀이치료의 유아교육현장 적용에 관한 연구와 놀이치료사를 훈련하는 수퍼바이저, 교수, 놀이치료 관련 대학과 유아교사 양성대학들을 위한 놀이치료 교육에 도움을 줄 수 있기를 기대해 본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research is the qualitative analysis of the early childhood teacher's experience of play therapy and the meaning of the experience. Research problems are following steps; First, what is the early childhood teacher's experience of play therapy? Second, what meaning is the early childhood teacher's experience of play therapy? We chose two early childhood teachers working in annex kindergarten as research subjects and analyzed their experiences related to the play therapy after graduate student. We also adopted a circulating research process of qualitative research and research tools like a participation observation, a thorough interview, a research log, a researcher diary, a discussions and a document information. Research results are following contents; First, we set up seven stages for play therapy experience analysis which are before experience of play therapy, play therapyⅠ, blank period, internet training, play therapyⅡ, internship and now. Two teachers had diverse experiences, while play therapy theory was practiced and became practical knowledge in their lives. Teachers became more mature in personality after play therapy experience than before. Second, the meanings of childhood teacher's experience of play therapy were analyzed into a their personal history and an early childhood teacher. Two teachers began to have a continuous self-examination and insight and to utilize a play therapy having various contexts and relations, focusing on internal meaning rather than external. Also their specialty as counselor and healer, required for early childhood teacher, had enhanced. We expect from results of study the early childhood teacher's experience of play therapy and the meaning of the experience that they would be helpful in appling a play therapy to a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educating a play therapy for supervisor and professor.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자료분석 및 해석
Ⅳ. 논의 및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 (2010).유아교사의 놀이치료 경험에 관한 질적연구. 놀이치료연구, 14 (2), 97-118

MLA

. "유아교사의 놀이치료 경험에 관한 질적연구." 놀이치료연구, 14.2(2010): 97-118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