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아동상담에서의 치료 동맹 관련 변인
이용수 15
- 영문명
- Therapeutic alliance factors in child counseling: Focusing on child's gender, age, and severity of problematic behavior
- 발행기관
- 한국아동심리재활학회
- 저자명
- 간행물 정보
- 『놀이치료연구』놀이치료연구 제14권 제2호, 15~29쪽, 전체 15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심리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0.08.31
4,6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에서는 아동의 성, 연령 및 문제행동 심각도에 따라 아동과 상담자가 지각한 치료 동맹에서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았다. 정서, 사회성 및 행동상의 문제로 개인상담(예; 놀이치료, 미술치료 등)을 받고 있는 초등학교 1∼6학년 아동상담사례를 수집하였고, 아동상담 관련 자격증을 가지고 있는 3년차 이상의 상담자가 진행하는 사례로 제한하여 상담자 변인을 통제하였다. 아동내담자-어머니-상담자 150조의 자료가 분석에 사용되었다. 아동의 성에 따른 치료 동맹의 차이는 아동의 지각에서 나타났고, 아동의 연령에 따른 치료 동맹의 차이는 상담자의 지각에서 나타났다. 여아가 남아보다 상담자와의 관계에서 공감적 이해와 수용을 더 많이 경험한다고 보고했고, 상담자는 저학년 아동이 고학년 아동보다 좋은 치료 동맹을 형성하는 것으로 보고했다. 아동의 연령과 어머니가 보고한 문제행동 심각도간 상호작용 효과는 아동이 지각한 치료 동맹에서 유의미했다. 저학년 아동은 부모가 보고한 문제행동 심각도가 낮을수록, 고학년 아동은 문제행동 심각도가 높을수록 치료 동맹을 더 긍정적으로 보고했다. 그러나 아동의 성과 문제행동 심각도의 상호작용 효과는 아동과 상담자가 지각한 치료 동맹에서 유의미하지 않았다.
영문 초록
This study investigated the differences of therapeutic alliance by the respect of the child's gender, age, and severity of problematic behavior.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150 child clients who are elementary school children from 1st and 6th grade including their parent and counselor. The counselor has career more than three years and they have certificate for professional counselor. The difference of therapeutic alliance gender was only revealed in child's perception. Girls has more positive perception of sympathetic understanding and acceptance than boys. The difference of therapeutic alliance age was only revealed in counselor's perception. The counselor reported that the younger children had more positive therapeutic alliance than the older children. The interactive effect is significant by age and severity of problematic behavior in child's perception. Younger children who have lower severity of problematic behavior get more positive perception of therapeutic alliance. Older children who have higher severity of problematic behavior have more positive perception of therapeutic alliance. The interactive effect is not significant by gender and severity of problematic behavior in child's and counselor's perception of therapeutic alliance.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모래상자를 활용한 자아성장 집단 프로그램이 장애아동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에 미치는 효과
- 아동상담에서의 치료 동맹 관련 변인
- 부모-자녀 상호작용증진 프로그램이 어머니 양육스트레스 및 모-자 상호작용에 미치는 효과
- 장애형제자매 유무에 따른 아동의 어머니 기대, 외로움, 스트레스의 지각
- 다문화가정 아동의 이중문화적응, 또래관계 및 이중문화수용 간의 관계
- 역동적 상호작용을 통한 미술활동이 학습장애아동의 자기존중감과 학습동기에 미치는 효과
- 유아교사의 놀이치료 경험에 관한 질적연구
- 해결중심 집단상담 프로그램이 학령초기 아동의 외현화 문제행동과 자아존중감 향상에 미치는 효과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심리학분야 NEW
- 구원자 각본을 가진 20대 여성의 전화상담 사례연구: 교류분석(TA)상담기법을 중심으로
- 요양보호사의 감정노동이 서비스질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회복탄력성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암환자의 죽음 불안 경험에 대한 내러티브 탐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