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장애형제자매 유무에 따른 아동의 어머니 기대, 외로움, 스트레스의 지각
이용수 35
- 영문명
- The study about children's of their mothers' expectation, loneliness, stress depending on the existence/non-existence of a disabled sibling
- 발행기관
- 한국아동심리재활학회
- 저자명
- 간행물 정보
- 『놀이치료연구』놀이치료연구 제14권 제2호, 29~44쪽, 전체 16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심리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0.08.31
4,7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에서는 장애형제자매를 두지 않은 비장애 아동들에 비해 장애형제자매를 둔 비장애 아동들의 어머니 기대와 외로움, 스트레스 수준이 어떤지 비교분석하였다. 연구대상으로는 경상북도에 소재한 일반초등학교(1개교)의 장애형제자매를 두지 않은 초등학교 4-6학년 아동 494명과 경상북도 및 대구광역시, 서울․경기도에 소재한 특수학교 4개교, 복지관 2개소, 장애인주간보호센터 5개소의 장애형제자매를 둔 비장애 초등학교 4-6학년 아동 125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자료분석으로는 SPSS 12.0 프로그램에서 빈도분석, Cronbach's α, t검증, 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를 통해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첫째, 장애형제자매 유무에 따른 아동의 어머니 기대를 살펴 본 결과 장애형제자매를 둔 비장애 아동이 장애형제자매를 두지 않은 비장애 아동보다 지각하고 있는 어머니 기대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장애형제자매를 둔 비장애 아동이 장애형제자매를 두지 않은 비장애 아동보다 외로움을 훨씬 더 많이 느끼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장애형제자매를 둔 비장애 아동이 장애형제자매를 두지 않은 비장애 아동보다 훨씬 더 많은 스트레스를 받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장애형제자매를 둔 비장애 아동의 어머니 기대, 외로움, 스트레스 간의 관계에서 아동의 어머니 기대와 스트레스, 외로움과 스트레스 간에 유의한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children's of their mothers' expectation, loneliness, Stress depending on the existence/non-existence of a disabled Sibling. In this study, sample consisting of 125 children of elementary school the four-six form in North Gyeongsang Province and with disabled sibling versus 494 children of elementary school the four-six form in North Gyeonsang Province, Daegu Metropolitan City, Seoul & Gyeonggi Province without disabled sibling were recruited, measure level of children's of their mothers' expectation, loneliness, stress.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SPSS WIN 12.0. Major findings of the research are as follows. First, difference is significant in children's of their mothers' expectation depending on the existence/non-existence of a disabled sibling. While child with disabled sibling likely to gains higher score in children's of their mothers' expectation than child without disabled sibling. Second, difference is significant in children's loneliness depending on the existence/non-existence of a disabled sibling. While child with disabled sibling likely to gains higher score in children's loneliness than child without disabled sibling. Third, difference is significant in children's stress depending on the existence/non-existence of a disabled sibling. While child with disabled sibling likely to gains higher score in children's stress than child without disabled sibling. Fourth, correlation is significant in children's of their mothers' expectation and children's stress, children's loneliness and children's stress. Especially, existence of a disabled sibling child's loneliness is high correlation showed in the domain stress exclude school part.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모래상자를 활용한 자아성장 집단 프로그램이 장애아동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에 미치는 효과
- 아동상담에서의 치료 동맹 관련 변인
- 부모-자녀 상호작용증진 프로그램이 어머니 양육스트레스 및 모-자 상호작용에 미치는 효과
- 장애형제자매 유무에 따른 아동의 어머니 기대, 외로움, 스트레스의 지각
- 다문화가정 아동의 이중문화적응, 또래관계 및 이중문화수용 간의 관계
- 역동적 상호작용을 통한 미술활동이 학습장애아동의 자기존중감과 학습동기에 미치는 효과
- 유아교사의 놀이치료 경험에 관한 질적연구
- 해결중심 집단상담 프로그램이 학령초기 아동의 외현화 문제행동과 자아존중감 향상에 미치는 효과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심리학분야 NEW
- 구원자 각본을 가진 20대 여성의 전화상담 사례연구: 교류분석(TA)상담기법을 중심으로
- 요양보호사의 감정노동이 서비스질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회복탄력성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암환자의 죽음 불안 경험에 대한 내러티브 탐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