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예술치료사가 지각한 직무스트레스와 치료적 동맹 관계분석
이용수 15
- 영문명
-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stress and therapeutic alliance perceived by arts therapist
- 발행기관
- 한국아동심리재활학회
- 저자명
- 간행물 정보
- 『놀이치료연구』놀이치료연구 제14권 제3호, 131~145쪽, 전체 15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심리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0.12.31
4,6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예술치료사가 지각한 직무스트레스와 치료적 동맹 관계를 알아보고자 한 것이다. 연구 대상은 대학원이나 학회 또는 협회 등을 통하여 예술치료를 전공하고, 예술치료관련 2급이상 자격증을 취득 한 예술치료사 97명으로 하였다. 연구대상자의 일반적인 특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빈도 분석을 하였으며 직무스트레스가 예술치료사의 치료적 동맹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상관관계 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나타난 결과를 요약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예술치료사의 직무스트레스는 성별, 주당 사례 수, 근무형태에 따라서는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나 연령변인, 결혼여부, 학력수준, 치료경력, 주당 근무시간, 수입, 직무관련 교육 및 연수 등에 따라서는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예술치료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치료적 동맹은 부적상관을 나타냈다. 특히 직무스트레스의 하위요인 중에서 직무관련요인이 치료적 동맹의 하위 요인인 유대감, 목표합의, 과제동의에 있어 부적상관이 높게 나타났다.
영문 초록
A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relationship between arts therapist's job stress and therapeutic alliance perceived by arts Therapist. The subjects for this study consisted of 97 arts therapists who specialized in arts therapy at a graduate school, a learned society, association, and others and had arts therapy qualification level 2. To know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s for a method of analyzing data, frequency analysis was carried out. To identify the relationship between arts therapists' job stress and therapeutic alliance, correlation analysis was carried out. To identify the effects of job stress on therapeutic alliance, regression analysis was carried out.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re was no meaningful difference in job stress by gender, workplace and work type. The arts therapists who are unmarried and in lower age has a higher job stress. Besides, the arts therapists who have a low education background and a shorter therapy career had a higher job stress. The arts therapist who have a shorter working hour in a week, a lower monthly income and do not participate in job related education and training had the higher jon stress. Second, there was a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job stress of the arts therapists and therapeutic alliance. In particular, a job related factor among sub-factors of job stress had a high negative correlation with factors of therapeutic alliance such as bonds, goal agreement and task consent.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결론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집단치료놀이 프로그램이 초등학교 1학년 아동의 자아탄력성과 내면화 장애에 미치는 효과
- 집단치료놀이 프로그램이 시설유아의 공격성 감소에 미치는 효과
- 다문화가정 부․모의 양육권에 따른 부모-자녀 관계 이야기
- 예술치료사가 지각한 직무스트레스와 치료적 동맹 관계분석
- 치료놀이가 자폐 유아의 사회적 행동변화에 미치는 영향
- 자녀와 정서적 유대가 어려운 어머니의 부모-자녀 놀이치료 참여 과정과 의미
- 남녀 청소년의 자기애, 완벽주의 및 가족탄력성이 신체상에 미치는 영향
- 한부모 모자가정의 가정환경변인, 유아변인 및 어머니 변인과 유아의 문제행동 간 관련성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심리학분야 NEW
- 구원자 각본을 가진 20대 여성의 전화상담 사례연구: 교류분석(TA)상담기법을 중심으로
- 요양보호사의 감정노동이 서비스질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회복탄력성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암환자의 죽음 불안 경험에 대한 내러티브 탐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