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남녀 청소년의 자기애, 완벽주의 및 가족탄력성이 신체상에 미치는 영향
이용수 17
- 영문명
- The effects of narcissism, perfectionism and family resilience on adolescents' body image
- 발행기관
- 한국아동심리재활학회
- 저자명
- 간행물 정보
- 『놀이치료연구』놀이치료연구 제14권 제3호, 1~17쪽, 전체 17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심리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0.12.31
4,8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자기애, 완벽주의 및 가족탄력성과 신체상의 성별에 따른 차이를 알아보려는데 있으며, 동시에 청소년의 신체상에 미치는 개인내적 변인(자기애, 완벽주의)과 가족 변인(가족탄력성)의 상대적 영향을 알아보고, 나아가 자기애가 신체상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가족탄력성이 조절효과를 갖는지 살펴보는 것이다. 본 연구는 경기, 서울 지역 소재 6개 고등학교 1학년생 총 631명의 학생들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SPSS Win 12.0을 이용하여 빈도분석, t검증, Pearson의 상관관계분석, 단계적 중다회귀분석, 위계적 중다회귀분석으로 통계 처리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신체상과 자기애, 가족탄력성은 성별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난 반면, 완벽주의는 성별에 따른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청소년의 자기애, 가족탄력성, 완벽주의 순으로 신체상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자기칭찬/주목의 요구, 가족조직패턴, 과장된 자기지각, 사회부과적 완벽주의 순으로 신체상을 예측하였다. 셋째, 가족탄력성 중 가족역할이 자기애가 신체상에 미치는 영향을 조절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differences in narcissism, perfectionism, family resilience and body image between both genders, and the relative effects of intra-individual variables(narcissism and perfectionism) and family-related variable(family resilience) on adolescents' body image, and to see if family resilience has any moder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narcissism and body image. The questionnaires collected from 631 1st grade high-school students in Gyeonggi and Seoul area were analyzed through frequency, t-test, Pearson's correlation analysis, stepwise and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ly, there were gender differences in perfectionism; no differences in narcissism, family resilience and body image were observed. Secondly, narcissism, family resilience and perfectionism were significant predictors of adolescents' body image. Specifically, body image was predicted in the order of self-exaltation/demands for attention, family organization pattern, exaggerated self-awareness, and society-imposed perfectionism. Thirdly, family role in family resilience had a moder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narcissism and body image.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결론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집단치료놀이 프로그램이 초등학교 1학년 아동의 자아탄력성과 내면화 장애에 미치는 효과
- 집단치료놀이 프로그램이 시설유아의 공격성 감소에 미치는 효과
- 다문화가정 부․모의 양육권에 따른 부모-자녀 관계 이야기
- 예술치료사가 지각한 직무스트레스와 치료적 동맹 관계분석
- 치료놀이가 자폐 유아의 사회적 행동변화에 미치는 영향
- 자녀와 정서적 유대가 어려운 어머니의 부모-자녀 놀이치료 참여 과정과 의미
- 남녀 청소년의 자기애, 완벽주의 및 가족탄력성이 신체상에 미치는 영향
- 한부모 모자가정의 가정환경변인, 유아변인 및 어머니 변인과 유아의 문제행동 간 관련성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심리학분야 NEW
- 구원자 각본을 가진 20대 여성의 전화상담 사례연구: 교류분석(TA)상담기법을 중심으로
- 요양보호사의 감정노동이 서비스질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회복탄력성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암환자의 죽음 불안 경험에 대한 내러티브 탐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